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교양필수과정(2021학번부터)

2021학번 이후 신입생부터는 해당 표의 교양필수 과목을 졸업 전까지 반드시 이수하여야하며, 가급적 1학년에 이수하시기 바랍니다.

교양영어과정 설명
과목명 개설학년 비고
경건훈련1, 2 1  
대학작문 1  
사회봉사 1  
전공진로탐색1, 2 1  
진로멘토링 1  
College English 1 1 4과목 중 2과목 이수
College English 2
Advanced English 1
Advanced English 2
영어성경 1-1학기

○ 2021-2022학번 : 10과목 중 2과목 이수
○ 2023학번 : 선택
초급실용영어
기초영작문
English Discussion
스크린영어
행복한영어읽기 1-2학기
영어회화
비즈니스영어
English Presentation
Reading for Exam

위 과목 개설학기는 운영에따라 변경될 수 있으므로, 매학기 시간표를 통해 확인하여야 합니다.

교양영어과정(2016-2020학번)

16학번부터 20학번까지 적용한 교양영어과정 필수 과목이 폐지됨에 따라 해당 학생은 아래와 같이 교양영어과정(대체과목)을 반드시 이수해야 합니다.

교양영어과정 설명
구분 폐지과목 학점 대체과목 학점 개설학년
문법
(3과목 중 2과목 필수)
Academic English 1 3 College English 1 3 1학년
Academic English 2 3 College English 2 3 1학년
Academic English 3 3 Advanced English 1 3 1학년
회화
(3과목 중 2과목 필수)
English Conversation 1 2 초급실용영어 3 1학년
English Conversation 2 2 영어회화 3 1학년
English Conversation 3 2 English Discussion 3 1학년

위 과목 개설학기는 매학기 시간표를 통해 확인하여야 합니다.

교양영어과정

교양영어과정은 신입생 필수입니다.

교양영어과정 설명
학년 학기 구분 과목명 학점
1 1 문법 Academic English 1 또는 2  3
2 문법 Academic English 2 또는 3  3
2 1 회화 English Conversation 1 또는 2  2
2 회화 English Conversation 2 또는 3  2

교양영어 Level별 지정과목 이수도표 (16학번부터 적용)

반드시 아래의 과정대로 이수해야 합니다.

Group1
문법과목 : 1학년 1학기 Academic English 1 / 1학년 2학기 Academic English 2
회화과목 : 2학년 1학기 English Conversation 1 / 2학년 2학기 English Conversation 2
Group
문법과목 : 1학년 1학기 Academic English 2 / 1학년 2학기 Academic English 3
회화과목 : 2학년 1학기 English Conversation 2 / 2학년 2학기 English Conversation 3

일반교양과정

일반교양과정 편성표
구분 핵심역량 1학기 2학기
교과번호 과목명 학점 교과번호 과목명 학점
교필 글로벌 민감성과 탁월성 CS0027 Academic English 1 3 CS0070 Academic English 2 3
CS0070 Academic English 2 3 CSTU0272 Academic English 3 3
CSTU0006 English Conversation 1 2 CSTU0011 English Conversation 2 2
CSTU0011 English Conversation 2 2 CS0164 English Conversation 3 2
CS0089 대학작문 3 CS0089 대학작문 3
공감과 소통의 리더십 CS0138 경건훈련1 2 CS0141 경건훈련2 2
CS0019 사회봉사 2 CS0019 사회봉사 2
CS0021 소그룹신앙운동 2 CS0177 전공진로탐색 1
CS0116 진로멘토링 2 CS0116 진로멘토링 2
교선 신앙과 인성 CSTU0097 건강과생활 2 2 CS0012 건강과생활1 2
CS0023 기독교고전문학강독 3 CS0079 결혼과 가정 2
CSTU0075 기독교세계관 3 CS0080 기독교세계관과 코칭 3
CS0044 대학생을위한 구약윤리 3 CS0081 기독교와 문학 3
CS0030 독서토론 2 CS0146 기독교와 이단 3
CS0122 말씀묵상 2 CS0082 기독교윤리 3
CS0014 사회복지개론 3 CS0122 말씀묵상 2
CS0047 성경과기독교인의 삶 3 CS0175 생활체육1 2
CS0021 소그룹신앙운동 2 MI0036 선교의 성경적 기초 3
CS0011 한국근현대사의 이해 3 CS0097 성경에서 배우는 삶의 지혜 3
CSTU0330 한국사 2 3 CS0099 신앙과 윤리 3
CS0029 행복한 삶을 위한 탐색 3 CS0035 철학이야기 3
  CS0026 칼빈,웨슬리 신학강독 3
CS0064 태권도선교 2
CS0066 한국 근현대사의 이해 3
CS0067 한국문학과 문화의 이해 3
CS0068 한국사1 3
글로벌 민감성과 탁월성 CS0024 English Presentation (Basic) 3 CS0074 English Bible2 3
CS0013 English Bible 1 3 CS0076 English Presentation (Adevanced) 3
CS0025 English Writing1 3 CS0077 English Writing2 3
CS0028 기독교적 서양사 이해 3 CS0168 서양사 이해 3
CS0031 동북아의 이해 3 CS0170 세계시민교육 3
CS0032 북한선교의 이해 3 CS0065 통일과 기독교 3
CS0036 영화속의 세계문화 3  
CS0015 한자와생활 2
CS0159 현대한국정치의이해[OCU] 3
창의 융합 역량 CS0017 Choir 1 2 CS0073 Choir2 2
CS0111 IT의 전략적 활용 3 CS0145 IT기술의 현재와 미래[KCU] 3
CS0158 TED로배우는영화속바이오테크놀로지[OCU] 3 CS0176 과학과 우주 3
CS0043 공간예술의 이해[KCU] 3 CS0173 기업가 정신과 창업[KCU] 3
CS0033 논문작성방법론 3 CS0033 논문작성 방법론 3
CS0016 문학의세계 3 CS0149 도시문화와 디자인[OCU] 3
CS0137 문화 속 디자인 여행[KCU] 3 CS0091 멀티미디어활용법 2
CS0162 미술사와 미술감상 3 CS0165 미술사와 미술감상 2 3
CS0136 생활 속 화학물질과 건강[KCU] 3 CS0096 생명과학과 기독교윤리 3
CS0050 신앙인의눈으로 본 자연과학 3 CS0136 생활속 화학물질과 건강[KCU] 3
CS0135 에너지와 생활[KCU] 3 CS0148 생활속의 수학[OCU] 3
CS0160 영화읽기[OCU] 3 CS0166 영상 컨텐츠 기획과 제작1 2
CS0038 직업진로설계 3 CS0147 영화로 배우는 자연재해[OCU] 3
CS0113 찬양과 발성2 2 CS0171 예배인도와기타 2
CS0110 창조와 생명의 신비 3 CS0167 음악컨텐츠 제작1 2
CS0037 컴퓨터활용 1 2 CS0143 인체안의 전쟁[KCU] 3
CS0020 현대사회와경제 3 CS0144 재미있는 미술이야기(KCU) 3
CS0157 현대인의 질병과 영양[KCU] 3 CS0103 직업의세계 2
  CS0104 찬양과 발성1 2
CS0105 창조와 과학 3
CS0107 청년문화사역 3
CS0169 취업전략과 자기개발 2
CS0062 컴퓨터활용2 2
공감과 소통의 리더십 CS0112 스피치&파워리더쉽 3 MISS0597 건강가정론 3
CEDU0050 아동복지론 3 TH0029 노인교육개론 3
CS0051 여성과사회 3 CS0086 대인관계와  커뮤니케이션 2
TH0062 영적리더십A 3 CS0088 대학생을 위한 해석학 입문 3
CS0018 인간과사회 3 CS0140 독서법과 교양 글쓰기 3
CS0046 자원봉사론 3 CS0094 사회문제론 3
CS0134 평생교육프로그램 3 CS0174 소그룹리더십B 3
  CS0142 영적리더십B 3
CS0101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3
CS0108 청소년 이해론 3
CS0172 청소년지도방법론 3
CS0121 한국사회의 약자들에 대한 기독교적 이해 3
CS0069 현대사회문제와 기독교 3

교과목 설명

경건훈련1 (Spiritual FormationI)CS0138
신입생들의 경건훈련을 위해 우리 대학의 '경건훈련원'이 개설하는 과목으로, 모든 신입생들은 1학기에는 [경건훈련 I]을 2학기에는 [경건훈련II]를 반드시 수강하여야 한다. 경건훈련원의 중요한 사역은 우리 대학에 입학하는 학생들에게 기독교적 신앙과 삶의 토대를 놓아주는 것이다. [경건훈련 I,II] 수업의 전체적인 주제는 '하나님 나라 백성으로 성장하는 액츠인 - 그리스도를 닮아가기'이다. '그리스도의 장성한 분량에까지 자라가기'(엡 4:13)는 우리가 지금부터 당장 시작해야 할 일이고 앞으로도 평생동안 지속해야 할 가장 중요한 삶의 목표이다. 우리는 이번 학기동안 (1)나 자신과의 관계에서, (2)하나님과의 관계에서, (3)공동체 속에서 그리스도를 닮아간다는 것이 무엇인지 말씀을 듣고, 그 말씀에 스스로를 비추고, 깨달은 말씀을 나누며 그리스도의 장성한 분량에까지 자라기기 위한 본격적인 여정을 시작할 것이다.
경건훈련2 (Spiritual FormationII)CS0141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하나님의 대리인으로 하나님의 통치를 이 땅 가운데 실현하셨을 뿐만 아니라, 하나님 백성을 대표하여 하나님의 다스림에 완전히 순종하신 그 나라의 첫 번째 백성이다. 그러므로 '하나님 나라의 백성으로 성장하기란 곧 '그리스도를 닮아가기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하나님 나라 백성의 세상과의 관계에 대해서 다룬다. 이 과정의 기본적인 목표는 하나님의 다스림 관점에서 세상을 이해하고, 자신의 은사와 하나님의 부르심에 근거하여, 진로와 소명에 대한 큰 그림을 그리게 하는 것이다. 하나님 나라 백성의 삶을 ACTS의 정신인 '선교적 삶'과 접목시키는 과정이 될 것이다. * 참고: 경건훈련 I과 연속성이 있으며 향후 내용은 추가될 예정임
대학작문 (Writing)CS0089
학생들의 글쓰기 능력 향상을 위해 개설된 것이다. 대학생활에서 글쓰기는 과제물 작성에서부터 시험, 논문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활용된다. 그러므로 본 강좌는 대학 생활에 필요한 글쓰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단어와 문장 사용법을 익히고, 이것을 바탕으로 논술이나 서평, 논문작성법 등을 익히고 실습한다. 그리고 좋은 글을 쓰는 능력을 기르기 위해 그 기초가 되는 독해력을 향상시킨다. 공통 커리큘럼에 따라 체계적인 수업을 진행한다.
사회봉사 (Community Service)CS0019
현대사회 속에서 사회봉사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이해하고 더불어 살아가는 사회 공동체의 의미를 생각해보고자 한다. 섬 김을 통해 사회의 변화와 자신의 성장을 도모하고, 봉사 활동을 하기 위해 사회봉사 대상자의 이해와 사회봉사 현장에 대 해 학습하도록 하다.
소그룹신앙운동 (Small Group Discipleship Training)CS0021
개인의 진정한 가치관의 출발은 나로부터의 출발이 아니라 하나님의 절대 주권을 믿음으로 인정하면서 시작됩니다.인생의 가장 중요한 시기에 하나님의 주권적 인도하심을 따라 ACTS공동체의 지체가 되었고 하나님이 축복으로 디자인 하실 미래의 새로운 출발선에 우리가 서 있습니다. 소그룹 신앙 운동은 ACTS의 새내기들에게 세상의 시각이 아닌 하나님의 시각 으로 하나님과의 관계 가운데 자신을 진단하고 하나님 자녀로서의 정체성을 확고히 할 수 있도록 돕는 통로가 되는 과목이 될 것이다. 또한 예수님의 제자로서의 꿈과 비전을 수립하고 세상의 각 영역에서 선교적인 삶으로 빛과 소금이 될 수 있는 구체적인 역할을 탐색해 나가는데 힘이 되고 교량 역할을 해주는 과목이 될것입니다.
전공진로탐색 (Introduction to Interdisciplinary Majors)CS0177
우리 대학에서 실시하는 연계전공 과정을 이해하고, 자신의 전공 진로를 잘 선택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마련된 강좌입니다. 연계전공이란 학생들이 처음 학교에 입학할 때 선택한 전공의 벽을 넘어 자신의 관심에 따라 다양한 전공을 추가로 선택하여 이수할 수 있도록 돕는 제도입니다. 이 강좌에서는 우리 대학에 개설되어 있는 연계전공 제도에 대한 설명과 함께 각 연계전공의 구체적인 특징과 요구사항, 이수과목들을 해당 전공을 주관하는 교수들의 설명으로 알아보게 됩니다. 연계전공은 학생들의 진로와 관심사, 가능성을 적극적으로 살릴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입니다.
진로멘토링 (Career mentoring)CS0116
학생의 취업과 진로를 탐색해보는 과목이다. 강의와 워크샵을 통해 본인의 진로선호도, 취업 준비를 위한 사항들을 알아보고, 본교 동문 중 목회, 선교사역 이외 취업현장에서 활동 중인 동문을 초청하여 특강을 듣고 질문과 토론을 하게 된다.
Academic English1 (Academic English1)CS0027
This course is designed for students who want to gain better understanding of English grammar. The lecture will be followed by written assignments so that students can fully exercise their newly obtained knowledge inside and outside the class. 이 수업은 초급 수준의 영어 수업으로, 영문법을 이해할 뿐 아니라,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를 접목하여 실생활에 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Academic English2 (Academic English2)CS0070
This is a English grammar for low intermediate.. It will focus on understanding grammar with opportunities to develop reading, listening, writing and speaking skills. This course will have a topical approach to 12 different subjects. (Prerequisite: Academic English 1) The English level for this course is low intermediate . CEFR B1, TOEFL iBT 41+, TOEFL Paper 437+, TOEIC 405+
Academic English3 (Academic English3)CSTU0272
This is a English grammar for intermediate.. It will focus on understanding grammar with opportunities to develop reading, listening, writing and speaking skills, with a heavier emphasis on production skills (writing and speaking). This course will have a topical approach to 12 different subjects. (Prerequisite: Academic English 2 or demonstration of English competency at this level)
English Conversation 1 (English Conversation 1)CSTU0006
기본적인 영어회화 능력을 배양하는 수업으로, 문법 중심이 아닌 말하기, 듣기 위주의 활동을 통해 영어실력을 향상합니다. 영어에 대한 두려움을 없애고 흥미로운 다양한 활동을 통해 즐겁게 영어를 습득하며 그동안 쌓은 영어에 대한 지식을 적극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될 것입니다. Pair Work, Group Work, Interview, Role Playing 등 여러 가지 방법을 활용하므로 정적인 수업이 아니라 역동적이며 활기찬 수업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English Conversation 2 (English Conversation 2)CSTU0011
In this course, we will try to improve all skills of English including listening, reading, speaking and writing. More emphasis will be given, however, on improvement of pronunciation and communicative competence according to situations.exposed in native speaker's way of speaking and expand student's English language ability in everyday life. Continues Conversation 1 Themes and structures.
English Conversation 3 (English Conversation 3)CS0164
This course is a conversation course for students with a high intermediate English language ability. The focus is on situations that a native speaker would face on a daily basis. Each situation is aimed to give opportunities to learners to be exposed in native speaker's way of speaking and expand student's English language ability in everyday life. Continues Conversation 1 Themes and structures.
건강가정론 (Introduction to The Healthy Families)MISS0597
가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다양한 가족의 건강성을 증진하기 위하여 이론적 틀을 제시하고 현장에서 응용 가능한 전문적 실천기술을 다루고자 한다. 건강가정지원센터 운영전반을 이해하고 건강가정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건강가정사의 역할 및 실천기술을 습득한다.
건강과생활 1&2 (Health & Life 1&2)CS0012
태권도는 2000년 시드니와 2004년 아테네 올림픽에 정식종목으로 채택되어 전 세계인의 스포츠가 되었다. 일본의 이름난 스포츠전문 잡지인 <스포츠 그래픽 넘버>의 '88 서울올림픽 특집호는 태권도에 대해 이렇게 썼다. '아마도 한국인이 낳은 문화유산 가운데 태권도처럼 세계적으로 보급된 문화는 없을 것이다. 거창하게 표현한다면 이조의 도자기나 현대의 자동차보다도 어쩌면 김치나 갈비보다도 온 세계에 널리 퍼져 침투한 것이 태권도다. 19세기 20세기가 교육과 의료의 선교였다면 21세기는 스포츠가 선교의 중심이 될 것이다. 그중 태권도는 21세기 국제화시대 지구촌시대를 맞이하여 한국적 선교상황에서 대화의 문을 열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선교도구이며 특히 모슬렘등 10/40(미전도 종족밀집지역) 창문지역에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강의를 통해 신체적 건강은 물론 21세기 효과적인 전문인 선교방법과 전략을 배워 국내, 외 선교현장에서 유용한 도구로 쓰여지게 될 것이다.
결혼과가정 (Marriage and Family)CS0079
가정은 우리의 삶 속에서 우리를 세우고 형성시키는 영향력을 가질 뿐 아니라 성인인 우리 를 제한하고 좌절시키는 장애를 유발하기도 한다. 본 과목은 결혼으로 시작되는 새로운 가 정이 어떻게 성장하고 발전해 나가는지 성경적이고 경험적이며 과학적인 접근을 통해 탐 색해보고자 한다. 그리하여 하나님 나라의 건강한 가정을 실현하기 위한 이론과 실제를 갖 추고자 한다. 개념이 바뀌지 않으면 적용은 일어나지 않는다.
과학과우주 (Science and Cosmology)CS0176
자연과학의 기본원리들을 이해하고,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현대물리학, 우주론을 살펴본다. 현대이론을 바탕으로 실재하는 물리적인 우주가 인격적이며 전능한 하나님에 의하여 창조되고 유지되고 있음을 이해한다. 또한 선교현장, 교회현장에서 복음을 효과적으로 전하기 위해서 성경적인 관점 안에서 과학의 위치를 잘 이해한다.
기독교고전문학강독 (Reading of Christian Classic Literature)CS0023
학생들과 함께 기독교적인 문학 고전들을 읽어보는 강좌이다. 훌륭한 문학은 자기 자신을 바라볼 수 있게 만들어 줄 뿐만 아니라, 세계를 바라보는 중요한 눈을 제공해 준다. 본 강좌는 기독교적인 관점에서 선별된 고전문학 작품들을 함께 읽어가는 과정을 통해 인간의 삶과 세계를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들을 경험해 보는 강좌이다. 또한 이 과정을 통해 문학 작품 속에서 발견하는 인간의 본질과 한계, 그리고 구원의 필요성과 예수 그리스도만이 유일한 구원의 길임을 확인하는 기독교 중심진리에 대해 함께 고민하고 확인하고자 한다.
기독교세계관 (Christian Worldview)CSTU0075
기독교세계관의 이해를 토대로 삶, 문화, 사역 현장에서 기독교세계관의 원리 를 적용하도록 가이드하는 워크숍 중심의 수업이다. 특히 기독교세계관의 원리와 코칭을 접목하여 기독교세계관으로 사고할 수 있도록 돕고, 기독교세계관으로 문화 콘텐츠를 해 석하고, 더 나아가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문화 콘텐츠를 제작하여 사역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기독교세계관과 코칭 (Christian worldview and coaching)CS0080
기독교세계관의 이해를 토대로 삶, 문화, 사역 현장에서 기독교세계관의 원리를 적용하도록 가이드하는 워크숍 중심의 수업이다. 특히 기독교세계관의 원리와 코칭을 접목하여 기독교세계관으로 사고할 수 있도록 돕고, 기독교세계관으로 문화 콘텐츠를 해석하고, 더 나아가 기독교세계관에 기초한 문화 콘텐츠를 제작하여 사역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기독교와문학 (Christianity and Literature)CS0081
기독교와 문학 사이의 상관관계 속에서 서로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방법을 찾아보는 강좌이다. 문학은 인간의 대표적인 의사소통 수단의 하나이며, 현대 문화를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다. 그러므로 문학적 의사소통의 방법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일은 기독교적 세계관에서도 매우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가 된다. 이 강좌는 먼저, 복음주의적 관점으로 성경을 읽는 데 있어서 문학을 읽는 기법들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지 모색해 볼 것이다. 그리고 현대의 문학과 문화 현상들을 기독교적 관점에서 바라봄으로써 현대 문화를 이해하고 분석하는 건강한 능력을 기르고자 한다.
기독교윤리 (Christian Ethics)CS0082
1. 기독교의 관점에서 성경 말씀을 토대로 윤리적 문제에 대해 최선의 대답을 찾는다. 2. 성경의 다양한 윤리적 비전들을 조사하고 그 비전들을 밑받침하는 통일성의 바탕을 규명하고 해석의 문제와 씨름하고 나서 끝으로 실천적인 문제에 도달한다. 3. 교회는 새로운 상황과 끊임없이 부딪히기에 그 상황들은 우리로 하여금 우리 시대의 도전에 대응하여 기독교 윤리관을 형성해 가면서 윤리적 문제에 대한 구체적인 판단을 내리게 된다.
기독교적 서양사 이해 (Western History and Christian Perspective)CS0028
서양사을 초기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전반적으로 개관하되 교양차원의 이해를 돕는 것 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기독교적 입장에서 서양사 전체를 개관하기에 '기독교적 입장 에서 본 서양사'라 할 수 있다.
노인교육개론 (Elderly Education)TH0029
현재 한국사회는 인류 역사상 가장 빠른 속도로 초고령화 사회에 진입했으며 노인교육은 단순한 여가가 아닌 평생교육의 한 장르를 차지하며 많은 교육적 수요를 낳았다. 특히 노인교육의 학문적 역사는 짧지만 노인들의 사회, 가족, 욕구 등의 환경변화에 대한 연구들이 나오면서 노인교육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있다. 이 과목은 노인교육 분야 또는 노인대상의 취업 분야에 관심있는 학생들에게 도움을 준다. 또한 부모님 세대의 은퇴 준비에 대한 팁들도 제시하며 슬기로운 은퇴준비에 대해 학습한다.
논문작성방법론 (Research methods)CS0033
책을 읽고 공부하는 방법을 배우는 과정이다. 책과 논문을 읽고 서평하는 훈련을 통하여 타인의 주장을 분석하고 평가하는 능력을 함양하고, 각자 스스로 주제를 정하여 자료를 찾고, 연구하고, 논문을 작성, 발표하고 토론함으로 말과 글로서 자기의 생각이나 주장을 설득력있게 전달하는 방법을 훈련할 것이다.
대인관계와 커뮤니케이션 (Interpersonal relation and Communication) CS0086
성공한 사람, 부를 축척한 사람, 유명한 사람 보기만 해도 부러운 사람이 정말 많다. 그런데 그들에게 '당신은 정말 행복합니까? 라는 질문을 던지면, 글쎄요? 라고 이야기 하며, 씁쓸한 표정을 짓는 사람들이 많다. 내가 정말 무엇을 좋아하는지, 내가 어떤 사람인지, 내가 언제 행복한지?도 모른채 그저 성공하기 위해, 남들이 인정하는 삶을 살기위해 고군분투하며 살아갈 때가 참으로 많다. 이 수업은 단순히 커뮤니케이션이론을 배우고, 말을 잘하는 스킬을 배우는 수업이 아닌, 내 자신을 알아가고, 나를 이해하는 시간이다 . 나 자신과의 관계를 돌아보고 회복하며, 하나님 안에서 온전한 자아를 발견해 건강하고 행복한 나를 만들어 세상과 하나님과 소통을 잘할 수 있는 21C탁월한 리더를 세우기 위한 수업이다.
대학생을 위한 해석학입문 (Introduction to Biblical Hermeneutics)CS0088
성경해석학이라는 말 자체가 접근하기 쉽지 않은 어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기독교인이라면 누구나 다 성경을 읽고 해석하고 있으며 성경해석은 곧 그 사람의 신앙와 삶에 대한 문제로 직결된다. 따라서 교역자(목사, 강도사, 전도사)나 주일학교 교사가 아니어도 그리스도인으로서 누구나 성경을 바르게 읽고 해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주일학교 교역자나 교사로 사역하는 학생들은 이 강의를 통해 성경해석의 이론적 기초를 확립하여 설교와 성경공부를 준비하는데 매우 유익한 시간이 될 것이다. 본 과목은 루이스 벌코프의 『성경해석학』을 중심으로 1. 성경이 성령의 영감에 의해 기록된 하나님의 계시의 말씀이며, 2. 따라서 성경을 읽고 해석함에 있어서도 성령의 조명하심이 필요함을 분명히 하고 3. 성경해석사를 간략하게 살펴봄으로 ACTS 신학공관의 역사적 의미와 가치를 확인하여 4. 기독교 종교의 중심진리에 입각하여 성경해석의 기본적인 원리(문법적, 역사적, 신학적 혹은 성경적 해석)에 따라 성경을 이해하고 해석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대학생을위한 구약윤리 (Introduction to Old Testament Ethics)CS0044
Old Testament Ethics for College Students 오늘날 한국교회가 처한 위기 상황은 여러 각도에서 그 원인을 분석할 수 있겠으나 무엇보다도 윤리 의식의 부재가 가장 중요한 근본원인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한국교회가 해결해야 할 시급한 과제는 하나님의 말씀에 기초한 성경적 윤리관의 정립이다. 성경은 우리에게 하나님에 대하여 믿어야 할 바(믿음)와 하나님께서 사람에게 요구하시는 바(행위)를 가르치고 있다(웨스트민스터 소요리문답 제3문). 교리는 믿음의 내용이며 윤리는 행위의 원리이다. 신학이 믿음이란 무엇인가를 주로 다룬다면 기독교 윤리는 기독교인으로서 어떻게 살 것인가를 다룬다. 그런데 하나님께서 사람에게 요구하시는 것(행위, 윤리)은 십계명에 함축적으로 요약되어 있다(소요리 제39-41문). 따라서 본 과목은 성경 윤리의 핵심인 십계명을 중심으로 이 시대를 사는 기독교 신앙인으로서 어떻게 빛과 소금의 역할을 잘 감당하며 살 것인가를 살펴볼 것이다.
독서법과 교양 글쓰기 (How to Read, How to Write)CS0140
지식인이라면 누구나 책을 잘 읽고 글을 잘 쓰고 싶어한다. 책을 잘 읽고 글을 잘 쓰는 것은 두 가지가 아니라 하나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그것은 다행스럽게도 후천적 기술이다. 누구나 노력하면 충분히 책을 잘 읽을 수 있고, 글을 잘 쓸 수 있다는 것이다. 이 과목은 책을 잘 읽고 싶고 또 글쓰기를 자신감 있게 도전하고 싶은 사람들을 위한 과목이다. 이 과목은 책의 제목부터, 표지, 저자, 주장, 근거, 줄거리, 이슈 등을 생각하면서 책을 읽는 훈련을 하며 또 매 시간 독서 또는 이슈 등을 비롯한 다양한 주제에 대해 글쓰기를 하며 서로 피드백을 나눌 것이다.
독서토론 (Reading Discussion)CS0030
독서토론은 본교 교양과정의 하나로서 심도있는 독서와 사색, 주제별 시청각 교육, 소규모 집단 단위의 발표 및 토론을 통해 수강생들의 인성과 사고력 및 표현력을 높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과목은 크게 3개 영역에서의 심도 있는 주제별 탐구를 통해 대학생으로서의 '참된 행복과 가치는 무엇인가?'라는 담론을 다루게 된다. 3개 영역은 '대학생의 삶' '차이의 존중 (혹은 다양성의 수용)' '세상의 이해와 시민으로서의 권리 (혹은 지성과 영성)의 세부영역으로 구성되며, 각 영역에서 엄선된 서적을 읽고, 읽은 부분을 사색하고 정리하여 글로 표현하는 훈련을 받게된다. 영역별 독서 후 관련 주제에 대한 시청각 교육과 최종토론을 통해 학교와 공부, 일과 직업, 지성과 영성, 경제와 사회의 영역에서 가치있는 삶이 무엇인가를 함께나누고 정리하는 시간을 갖고자 한다.
동북아의 이해 (The understanding of Northeast Asia)CS0031
사실, 신학대학의 학생들은 동북아 문제에 관심을 많이 가지고 있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현대 세계의 가장 치열한 문제의 최정점에 있는 한반도에 살면서 우리는 이 문제로부터 도저히 자유로울 수 없다. 우리 기독교인들도 교육현장에서 사역현장에서 첨예한 한반도 주변정세에 대해 끊임없이 반응하고 대화하지 않을 수 없다. 이것은 지정학적 요충지에 살면서 분단되어 있 는 우리 한민족의 운명이기도 하다. 따라서 본 강좌는 한국의 대학생이라면 가장 기본적인 수준에서 반드시 알아야 할 우리나 라의 통일문제와 주변정세, 동북아관계, 동북아 평화에 대해 다룰 것이다. 신학대학의 특성상 이 문제에 소홀할 수 있고 흥미를 가지고 있지 않은 학생들을 대상으 로 한다. 또한 요즘 중요시되고 있는 중국, 북한, 러시아, 일본 선교를 위해 준비하는 학생들을 위해 그들이 가져야 할 가장 기본적이고 꼭 알아야 할 역사적 지식과 관점을 갖추는데 일조하고 자 한다. 신학대학의 특성을 살리고, 무엇보다도 전공이 아닌 교양강좌이기 때문에 강사는 학생들 에게 큰 부담을 주지 않고서도 수업의 효율성을 살리기 위해 쉽고 재미있고 기억에 오래남는 강 의를 위해 준비하고 노력하고자 한다.
말씀묵상 (Quiet Time) CS0122
구원을 하나님과의 관계 회복, 혹은 하나님과의 교제 회복으로 정의할 때, 하나님과의 지속적인 교제는 말씀을 통하여 가능하며, 그리스도인을 하나님 말씀에 통치받는 사람으로 정의할 때, 구원의 완성과 하나님 나라 백성의 삶이라는 두 핵심 기둥을 말씀 묵상에서 실현할 수 있다. 말씀 묵상이 단지 개인 영성을 뛰어 넘어, 공동체와 사회를 변혁하고, 개혁하는 빛과 소금의 역할을 감당하도록 도와줄 뿐 아니라, 말씀을 준비하고, 설교하는 지도자의 관점에서 묵상이 있는 설교는 하나님과 회중 사이를 진지하게 만나게 하는 역할을 감당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멀티미디어활용법 (Utilization of multimedia)CS0091
정보통신기술(ICT,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의 발달로 세상이 바뀌고 있다. 인터넷, 소셜네트워크, 빅데이타,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로봇, 가상현실 등 새로운 개념의 기술과 서비스들이 실용화 되고 있다. 이들의 공통점은 멀티미디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멀티미디어는 텍스트, 이미지와 그래픽, 사운드, 애니메이션 등으로 구성 되어 있다. 그러나 보다 더 중요한 것은 이 구성 요소들을 어떻게 조합하여 활용하느냐 하는 것이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도구를 활용하는 능력을 키우는 것은 이 시대를 준비하는 현명한 대처 방법이며, 이를 활용한 선교 전략을 연구하는 것이 이 필요하다. 본 강의는 정보통신기술의 트렌드를 알아보고, 사역을 기획하여 IT 를 선교에 전략적으로 활용하는 방안, 멀티미디어 도구 (프레지, Movie Maker) 를 각자의 선교사역에 활용하는 실제적인 능력을 키우고자 한다.
문학의세계 (The World of Literature)CS0016
현대 문학 이해의 바탕이 되는 다양한 문학 이론을 공부하고, 이를 토대로 구체 적인 작품을 읽고 해석하며 즐길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그리고 이 시대를 이해하는 데에는 문학 작품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것이 매우 유용하므로, 문학 을 통해 현대 문화와 그 속에 내재되어 있는 세계관의 본질을 파악하고 비판하여 바람직 한 기독교적 안목을 세워 나가고자 한다.
미술사와 미술감상 1&2 (Art History and Art Appreciation)CS0162
미술사와 미술감상 수업은 고대부터 산업혁명까지의 대표적인 작품과 미술사적 분석을 배우고, 신앙적 관점에서 작품을 어떻게 감상할 수 있는지에 관하여 연구한다.
북한선교의 이해 (Understanding of Christian Missions in North Korea)CS0032
북한의 정치 체제, 주체사상이해, 북한의 문화와 사회를 이해하고 파악한다. 북한사회에 복음을 전하기 위하여 북한사회와 북한의 문화를 이해 한다. 북한주민의 이해와 북한주민의 일상생활, 가치관을 파악하고 이해한다. 신학적으로 북한선교의 성경적 당위성을 이해한다. 북한이탈주민의 성공적 정착과 취업 사례 등을 이해한다. 복음주의적인 입장에서 통일준비를 위한 선교전략과 방법에 대해서 알아본다
사회문제론 (Social Problems)CS0094
본 강좌는 사회문제를 분석하고 설명하는 이론적 관점을 소개함으로 한국사회의 주요 사회문제들을 구체적으로 분석해 봄으로서 사회문제 발생의 원인과 실태 및 유형을 파악하고자 한다. 따라서 사회문제를 근원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시각과 분석력을 키우고 그 해결책을 모색함으로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대책을 세우는 능력을 함양하고자 한다. 아울러 기독교인으로 어떻게 사회문제를 바라보아야 하며, 기독교적 관점의 해결방안 등을 논의해보고자 한다.
사회복지개론 (Introduction of Social Welfare)CS0014
사회복지를 교양적 수준에서 이해하고자 하는 학생들에게 사회복지의 학문 적 연구와 실천에 관한 지식을 개괄적으로 소개하는 과목이다. 이를 위해 사회복지의 개 념, 사회복지의 가치와 이념, 사회복지의 발달과정을 먼저 이해한 후 사회복지학의 실천방 법, 사회복지의 미시적 분야와 거시적 분야, 사회복지실천방법론과 사회복지정책과 제도 에 대해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사회복지의 전망과 과제에 대해 알아본다.
생명과학과 기독교윤리 (Life Science and Christian Ethics)CS0096
생명과학이 어디까지 발전했는지를 살펴보고, 현대생명과학의 패러다임이 성경적으로 어떤 면에서 문제가 있으며, 그러한 문제가 생명과학의 응용 분야에서 어떤 부작용을 산출하게 되는지를 논의한다. 한 학기 강의의 결과로서, 이러한 고도의 과학기술 문화 가운데 살아가는 그리스도인으로서 이러한 생명과학 분야의 이슈들에 대해서 어떠한 대응을 하는 것이 합당한지 함께 생각해본다.
생활체육 (Life Sports)CS0175
너희 몸은 하나님의 성전.... (고전3:16) 많은 선교사님들이 선교 현장에서 건강 문제로 조기 귀국 하는 사례가 많습니다. 본 생활체육 수업은 성전인 육체를 구기종목 (축구,탁구) 을 통해 잘 관리 할 수 있으며 선교현장에서 유용하게 쓰임 받을 수 있습니다. 축구 및 탁구 실기 트레이닝을 통해 실력향상과 실제적인 스포츠를 통한 전도 실천을 경험 할 수 있습니다.
서양사 이해 (Understanding Western History)CS0168
서양사을 초기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전반적으로 개관하되 교양차원의 이해를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기독교적 입장에서 서양사 전체를 개관하기에 '기독교적 입장에서 본 서양사'라 할 수 있다.
선교의 성경적 기초 (Biblical Foundation for Mission)MI0036
선교 수행의 전제로 요구되는 두 가지 이해가 있다. 첫째는 텍스트로서 하나님의 말씀에 대한 이해이고, 둘째는 그 말씀이 전달되어야 할 컨텍스트로서 문화적 상황에 대한 이해이다. 본 과목은 그 중 첫 번째 이해와 관련된 과목이다. 하나님의 의도를 기록한 계시로서의 성경은 모든 기독교사역의 기초를 제공한다. 따라서 하나님의 선교적 의도를 실천하고 성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선교 또한 그 사역의 기초를 성경에 두고 있어야 함은 필연적이다. 본 과목은 선교에 대한 성경적 기초를 제공함으로써 수강생들로 하여금 선교의 성경적 기초를 수립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선교에 대한 기본 과목으로서, 본 과목은 신구약 성경을 통해 드러난 하나님의 선교적 의도를 이해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성경과기독교인의 삶 (The Message of Qoheleth: Wisdom for life)CS0047
창세기를 중심으로 예수 믿고 구원받은 성도들이 이 세상에서 어떻게 살 것인가에 대하여 살펴볼 것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성경 연구의 기본이 되는 성경관과 성경 해석 방법론을 검토하고 천지 창조로부터 사건별(천지창조, 인간창조, 죄의 본질, 가인과 아벨, 노아홍수, 바벨탐 사건 등), 인물별(아브라함, 이삭, 야곱, 요셉)로 본문의 흐름을 따라 창세기를 간략하게 주석해 나갈 것이다. 본 과목을 통하여 하나님께서 나를 택하시고 구원하신 이유와 목적이 무엇인가를 알고 또한 그것이 나의 삶과 앞으로의 사역에 어떤 의미가 있는가를 생각해 볼 수 있는 시간이 되었으면 한다.
성경에서 배우는 삶의 지혜 (The Message of Qoheleth: Wisdom for life)CS0097
일반적으로 지혜문학이란 지혜자가 혹은 지혜자의 가르침을 기록한 저자가 후대에 교훈을 위하여 문학적 감화력을 가미하여 저술한 모든 문학을 통칭한다. 이러한 지혜 문학은 어느 시대, 어느 문화권에서나 공통적으로 찾아볼 수 있다. 성경에서 욥기나 잠언 전도서 등은 역사적으로나 지리적으로 밀접한 관계에 있는 고대 근동의 지혜문학과 외형적인 형식이나 그 내용에 있어서 매우 유사하다. 따라서 많은 사람들이 소위 성경의 지혜문학은 고대 근동에 널리 유포되었던 지혜문학의 모방이라고 간주한다. 그러나 성경의 지혜문학은 다신교적 우주관에 기반을 둔 고대 근동의 지혜문학과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비록 같은 혹은 서로 밀접한 관계에 있는 문화적 배경 속에서 그 내용이나 형식에 있어서 유사한 점이 있지만 고대근동의 지혜문학은 사람들이 만들어 낸 문학작품이고 성경의 지혜문학은 하나님의 영감에 의해 기록된 하나님의 말씀이라는 점에서 서로 비교할 수 없는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 성경의 지혜문학은 한마디로 여호와 경외라는 가르침으로 집약된다. 성경의 지혜문학은 잠시 살다 갈 이 세상에서 하나님의 백성이 가져야 할 삶의 자세를 다양하고도 구체적인 사례들을 통하여 보여주고 있다. 이번 학기는 전도서를 중심으로 죄로 인해 죽음을 앞에 두고 살아가는 인생들이 이 세상에서 어떻게 살 것인가의 문제를 살펴보고자 한다. 전도서는 1. 사람이 이 세상에서 수고하는 모든 수고가 왜 바람을 잡으려는 것과 같이 헛된 것인가? 2. 하나님께서 이 세상을 주관하시고 섭리하시는데 왜 이 세상에는 불의와 죄악이 가득한가? 3. 이러한 세상에서 우리는 과연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등에 대하여 고찰하고 있다. 그리고 이에 대하여 전도서는 사람이 '마음에 원하는 길로', '눈에 보이는 대로' 좇아 행하는 것이 아니라 장차 다가올 미래를 예비하는 삶을 살라고 권면한다. 특별히 전도서는 장차 다가올 미래, 즉 '죽음 그 이후에는 하나님의 심판이 있으므로 이 세상을 사는 동안 하나님을 기억하는 삶을 살아야 하며 그것은 곧 하나님을 경외하고 그 명령을 지키는 것이라고 역설한다. 우리가 성경에서 배워야 할 삶의 지혜는 하나님을 경외하고 말씀 순종하는 것이다.
세계시민교육 (Global Citizenship Education)CS0170
다문화사회로 진입한 한국을 위한 세계시민의식을 함양하기 위해 세계시민교육을 진행하며, 더 나아가 신본주의에 입각한 성경적 세계시민이 되기 위한 기준 및 방법을 습득한다. 수업을 통해 성경적 세계시민의식을 갖고 각자의 사역 현장, 교회, 속한 공동체 등에서 만나게 되는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지닌 사람들을 대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한다
소그룹리더십 (Small Group Discipleship Training)TH0062
[경건훈련원 금요모임]의 소그룹리더로 선발된 3, 4학년 학생들만 수강할 수 있는 과목이다. 본 과목은 우리 대학의 3, 4학년 재학생들에게 '영적리더쉽'에 대해서 고민하고, 실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개설되었다. 이를 위해 다음의 두 가지 사항들에 대한 집중적인 훈련과 실습이 진행될 것이다. (1)리더쉽에 관한 몇 차례의 집중 강의와 독서를 통해 영적리더쉽의 본질을 이해하고, 자신이 영적리더로서 어느 단계에 와 있는지를 스스로 평가해 본다. (2)금요일 1:30 이후에 실시될 1학년 [경건훈련 I] 시간에 소그룹리더로 참여하여 소그룹리더쉽을 실습한다. 한 학기 동안 자신의 소그룹에 소속된 1학년 후배들과 인격적인 관계를 맺으며 영적인 돌봄을 제공한다.
소그룹신앙운동 (Small Group Discipleship Training)CS0021
소그룹 활동을 통하여 1학년 학생들의 학교 적응을 돕고 대학생활의 기초를 점검하고 방향성을 세우도록 한다.
스피치&파워리더쉽 (Speach & Power leadership)CS0112
스피치는 이제 더 이상 전문인들의 영역이 아니다. 스피치는 사람들에게 나를 표현하고, 내가 어떤 사람인지를 보여줄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영역 이다. 아무리 자신감이 넘치는 사고를 가지고 있어도, 스피치를 할 때 늘 자신감 없이 말을 하고, 목소리는 기어들어가 전혀 어떤 내용을 전달하는 지조차 알 수 없다면, 그 사람의 매력은 단숨에 반감되어버릴 것이다. 스피치는 이제 경쟁력 반열에 올랐다. 대인관계와 커뮤니케이션이 초미 의 관심사로 떠오른 것도, 이제는 혼자 성공할 수 있는 세상이 아닌, 진정 성있고 자신감 넘치는 스피치 대화법으로 사람들과 소통을 잘하고, 사람 들과 관계를 잘 맺어가는 것. 그리고 그 관계로 인해 일의 능률뿐 아니라, 인생의 성취감을 맛볼 수 있는 중요한 원인으로 자리잡고 있기 때문에 스 피치 능력을 기르기 위한 노력과 학습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이 수업을 통해 실질직인 스피치 트레이닝과 실습으로 보다 자신 감 넘치는 스피치를 할 수 있도록 보다 체계적인 스피치 이론과 실습을 하게 될 것이다. 또한 세상은 리더십의 자질을 충분히 가지고 있는 사람을 찾고 있다. 리더십은 타고나기도 하지만, 개발하고 노력하고 끊임없는 훈련을 통해 후천적으로 충분히 키울 수 있다. 리더가 되기 위해 자신이 가지고 있는 리더십 자질을 발견해서 개발하고, 자신이 속한 조직(교회,학교 등)에 활 력을 불어넣고 사람들에게 동기를 부여하여 창의력과 열정을 이끌어 내 는 리더를 만들기 위해 리더십 이론, 더 나아가 조별활동을 통한 리더십 을 개발을 통해 대중 속에서 당당하고 자신감 넘치는 리더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신앙과윤리 (Faith & Ethics)CS0099
기독교 윤리적인 관점에서 창조질서와 사회 윤리질서의 보존과 이를 위한 그리스도인과 교회가 실천하여야 할 과제들을 탐구함으로서 사고하는 그리스도인의 지적 책임과 실천 방안을 모색하는 과목이다.
신앙인의눈으로 본 자연과학 (Christian Perspectives on Natural Science)CS0050
세속적 과학 영역의 주장과 성경의 계시와 충돌하고 있는 쟁점들에 대한 신앙인의 합당한 자세에 대하여 지구편평설, 우주생물학, 지적설계론, 천상의 존재들, UFO 논쟁을 중심으로 논의한다. 올바른 과학 활동은 창조주 하나님의 무한하신 능력과 속성을 사람이 맛보아 알 수 있는 귀한 도구가 되지만, 성경과 충돌하고 있는 과학 영역의 주장은 결코 과학적이 아니며, 단지 '과학주의'라는 마귀적 거짓 선동의 산물임을 증거한다. 성경을 정확무오한 하나님의 말씀으로 믿는 개신교에서도 과학주의의 영향으로 인하여 성경 구절의 많은 부분의 해석을 포기하거나 영적인 의미만을 찾고 마는 경향이 있는데, 이것이 성경의 핵심 메시지를 성도들이 깨닫거나 전도를 위해 기독교 신앙을 변증하는데 있어서 얼마나 큰 장애 요인인지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결과적으로 수강생들에게 베뢰아인(행 17:11)의 성경 연구의 자세가 무엇인지 실천적인 지침을 제공하는 것이 본 과목의 목표이다.
아동복지론 (Child Welfare)CEDU0050
아동복지에 대한 총괄적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여성과사회 (Women and Society)CS0051
이 세상 사람들의 반은 여성이다. 그동안 소외되었던 여성들이 21세기에 들어와서 리더쉽을 발휘하기 시작하였다. 이 과목을 통하여 현 사회안에서의 여성의 정체성 찾기, 여성의 역할의 변화, 여성의 장점들, 바람직한 여성의 리더쉽 모델찾기, 리더쉽 개발과 비전, 그리고 성경과 실제에 있어서의 리더쉽의 예들을 연구하면서, 세상 속에 사는 기독교인으로서의 바람직한 여성상을 찾아본다
영상 컨텐츠 기획과 제작 1 (Music contents recording & mixing 1)CS0166
영상컨텐츠의 기획, 촬영, 편집 등 컨텐츠를 생산하기까지 일련의 과정을 경험하는 수업이다. 수업의 주요 내용과 중점은 아래와 같다. 1. 영상 기획 이론, 2. 영상 촬영 기법, 3. 영상 편집 프로그램 운용, 4. 영상 컨텐츠 제작
영적리더십 A,B (Spiritual Leadership A,B)CS0142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하나님의 대리인으로 하나님의 통치를 이 땅 가운데 실현하셨을 뿐만 아니라, 하나님 백성을 대표하여 하나님의 다스림에 완전히 순종하신 그 나라의 첫 번째 백성이다. 그러므로 '하나님 나라의 백성으로 성장하기란 곧 '그리스도를 닮아가기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하나님 나라 백성의 세상과의 관계에 대해서 다룬다. 이 과정의 기본적인 목표는 하나님의 다스림 관점에서 세상을 이해하고, 자신의 은사와 하나님의 부르심에 근거하여, 진로와 소명에 대한 큰 그림을 그리게 하는 것이다. 하나님 나라 백성의 삶을 ACTS의 정신인 '선교적 삶'과 접목시키는 과정이 될 것이다.
영화속의 세계문화 (World Cultures in Movies)CS0036
영화 속의 세계 문화는 영화라는 현대 대중 예술을 통해 다양한 문화를 관찰하고 그 문 화들 속에서 사는 사람들의 삶에 대해 배우는 것입니다. 한 편의 영화를 통해 특정 민족 혹은 국가의 문화를 세밀히 그리고 균형있게 모두 볼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영화와 스토리라는 두 매체를 통 해 우리는 이전에 미처 보지 못 했던 다른 문화의 많은 요소들에 대해 배울 수 있을 것입니 다. 특별히, 영화를 관람한 뒤에 토론을 할 때에 우리는 문화인류학적 분류 방법을 사용하 여 보다 체계적인 학습을 하게 됩니다.
예배인도와 기타 (Worship Leader and Guitar)CS0171
교회의 예배 및 소그룹 현장에서 요구되는 예배(찬양)인도에 대한 이해를 얻고 음악적인 기술(Guitar) 훈련을 통해 효과적인 예배인도와 소그룹 찬양을 인도하기 위한 수업이다.
음악컨텐츠 제작 1 (Video contents making for music 1)CS0167
음악 컨텐츠 제작에 필수 요소인 음향기술의 기초과정을 교육하는 수업이다. 본 수업을 통해 음악 컨텐츠 제작에 필요한 기초 음향학, 레코딩 이론, 마이크 이론, 믹싱 기초이론, 음악컨텐츠 제작 단계 등 기초 이론을 교육하고 이론 교육을 바탕으로 그룹별 컨텐츠 제작 실습을 진행하여 음악 컨텐츠 제작의 기본 과정을 경험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수업 진행은 이론과 실습을 구분하여 중간고사 전까지 이론을 공부하고 이후 기말고사까지 실습 및 팀별 수행과제를 통해 수업을 진행한다.
인간과사회 (Anthropology and Sociology)CS0018
현대사회문제에 대한 다양한 현상을 신학대학의 특성을 살려 기독교적 관점에 서 조명해보고자 하는 것이다. 하나님의 정치는 어떤 것이며 왜 우리는 종교에 정치에 대해 대놓 고 이야기하지 못하는가 하는 고민을 해 본다. 특히 복음주의자는 사회와 어떠한 관계를 설정해야 하는가? 복음주의자의 사회참여는 성 경적으로 어떻게 해석될 수 있는가 하는 것을 함께 생각해 보는 시간이다. 왜 그리스도인들은 세 상과 사회문제에 참여해야 하는가? 그에 대한 해결책으로 성경이 말하는 것은 무엇인가? 등을 고민해 보는 시간이다. 또한 현대의 국제정세에 대해 예수의 시각으로 바라보는 훈련을 하는 과목이다. 그리하여 우리는 복잡다단한 현대사회속에서 어떻게 현명한 선택을 할 것이고 사회를 바람직한 방향으 로 이끌어 갈 것인가 고민해 보는 과목이다.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Human Behavior and the social Environment)CS0101
환경 속의 인간'의 관점을 통해 인간의 성격과 발달과정, 사회체계에 관한 제반 이론을 습득한다. 인간과 환경 사이의 역동적인 균형을 돕기 위한 기초 지식을 학습하여 클라이언트의 다양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사회복지사의 자질을 개발시키고자 한다.
자원봉사론 (Valunteerism )CS0046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자원봉사의 현장은 사회복지 현장의 사업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을 감당하고 있다. 자원봉사는 지역사회와 자원봉사자 모두에게 중요하며 마을 공동체를 넘어서는 지역사회를 감당하게 하는 원동력이다. 자원봉사는 개인의 관심과 지역 사회의 필요에 대한 균형을 이루며 시민 참여를 강화하여 모든 영역에서 지원을 제공하고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국가나 국제적인 기구에서도 자원봉사 활동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과 다양한 제도를 통하여 자원봉사에 대한 활성화를 계획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자원봉사의 활성화 대책과 훈련된 자원봉사에 대한 이론과 실무적인 역량 강화는 필수적이다. 이론과 현장의 사례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자원봉사에 대한 이론과 프로그램 개발과 역할과 자세 및 과정을 배우는 과정이다.
직업의세계 (Career guidance and occupational choice)CS0103
일에 대한 성경적 가치관을 점검해보고, 본인에게 적합한 직업군을 살펴봄으로써 자신의 진로 설계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취업 현장 체험을 통해 지금 Acts 생활 속에서 준비해야 할 것이 무엇인지 알 수 있도록 한다.
직업진로설계 (Vocational Career Design)CS0038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자신의 은사와 특성을 발견하고 자기이해를 통해 진로를 탐색하는 과목이다. 본 과목을 통해 학생들은 다양한 진로의 세계를 탐험하며 꿈을 찾는 미래를 설계한다.
찬양과 발성 1&2 (Praise and Vocalization 1&2)CS0104
하나님을 향한 찬양은 살아 호흡하는 기도이며, 찬양을 통하여 진정한 하나님과의 영적인 만남을 이룰 수 있는 것으로 찬양과 발성이라는 제목으로 과목을 개설함은 하나님의 사역을 준비하는 예비 사역자들에게 훈련된 아름다운 목소리와 준비된 찬양으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고 사역시 성도들을 리드할 수 있도록 실기능력을 교수함에 있다
창조와 과학 (Creation and Science)CS0105
성경의 계시가 의미하는 바와 현대 과학의 연구결과들이 충돌을 일으킨다는 오해들로 인하여, 성경과 과학이 대립적인 관계에 있다는 생각과, 과학의 주장들을 근거로 전통적인 성경해석들을 변경하려는 다양한 시도들이 넘쳐나고 있다. 이에 '성경의 무오성' 교리에 입각하여 창세기 1-11장의 계시를 어떻게 주해(exegesis)하는 것이 바른 방향인지를 현대 과학의 주장들과 관련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즉 하나님의 창조 기사와 관련된 내용들을 과학적 논의를 사용하여 가장 효과적으로 변증하는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창조와 생명의 신비 (Creation and Mystery of Life)CS0110
하나님께서 창조하신 인간의 물리적 생명의 본질인 혈액의 특성과 혈액과 관련된 질병, 그리고 혈액과 음식의 상관 관계를 하나님의 창조 명령의 맥락에서 살펴본다. 이를 통하여 하나님의 창조 섭리의 오묘함을 깨달으며, 생명과학 분야의 최근 핫 이슈인 장내세균총과 관련하여 하나님의 명령에 온전히 순종하는 것이 어째서 사람에게 유일한 행복의 조건이 되는지를 이해하도록 한다. 이러한 이해를 통하여 자신이나 가족 및 지인 중에 이런 저런 질병으로 고통받는 사람들이 있을 때, 그의 근본 원인이 어디에 있는지 최신의 생명과학 이론을 통하여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그 해결책은 무엇인지를 실질적으로 제시한다.
철학이야기 (History of Philosophy)CS0035
철학은 모든 학문의 기초이다. 인간은 생각하는 존재이며, 이 우주의 존재들과 인간의 삶에 대해서 생각한다. 철학이야기는 인간이 무엇을 고민하고 어떤 질문을 던졌으며 어떤 답을 나름대로 제시했는지 살펴보는 과목이다. 이 과목을 통해서 우리는 생각하는 방식들의 차이를 발견하게 될 것이며 인간이 고뇌하고 사유하는 영역들을 보게 될 것이다. 이 과목은 동서양의 철학 사상들을 살펴보고, 나아가서 기독교 세계관의 관점에서 이러한 철학 사 상들을 조명해보는 것이다.
청년문화사역 (Emerging Culture and Church Ministry)CS0107
한국교회는 청년들의 탈교회 현상에 대해 큰 고민을 안고 있다. 어떻게 하면 청년들을 다시 교회로 불러 드릴 수 있을지에 대한 방법론에 치중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청년과 그들의 문화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를 추구해야 할 것이다. <청년, 문화, 사역>은 현대를 살아가는 현대청년들의 현실과 의식 함께 공부하여 적합한 사역을 모색한다.
청소년 이해론 (Youth Understanding) CS0108
21세기 4차 산업혁명과 다원화의 시대에서 살아가고 있는 청소년의 특징과 그들 주변 환경을 이해하며 다양한 상황과 문제를 경험하는 청소년을 적절히 지도할 수 있는 방법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소년지도방법론 (Youth Guidance Methodology)CS0172
청소년교육의 기초적이고 전반적인 내용을 다루므로, 청소년지도자에게 청소년지도와 방법에 대한 이론적, 실천적 안목과 능력을 함양하도록 도움을 주기 위한 목적을 갖습니다.
취업전략과 자기개발 (Employment strategy and self-development)CS0169
직업인이 되기 위한 기본적인 자질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자기계발 전략을 수립하고, 점검함으로써 졸업 후 진로 설계에 자신감과 유익을 주고자 한다.
칼빈.웨슬리 신학강독 (Readings in Calvin and Wesley)CS0026
존 칼빈(1509-1564)과 존 웨슬리(1703-1791)의 생애와 주요 신학사상을 그들의 주요 저서들을 강독하고 토론하면서 이해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삼는다. 기독교 역사에서 고전으로서 지금까지도 많은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기독교 강요>와 <존 웨슬리의 일기>를 직접 읽고 토론하며 ACTS의 신학적 입장을 더욱 공고히 하고, 학우들의 삶과 신앙에 귀한 초석으로 삼고자 한다.
컴퓨터활용 1&2 (Practical Computer Applications 1&2)CS0037
정보통신기술(ICT,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이 발달함에 따라 인간의 생활이 편리해 졌다. 빅데이타,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로봇, 가상현실, 드론 등의 새로운 개념의 기술과 서비스들이 실용화 되고 있다. 특히 인터넷을 근간으로 하는 정보의 홍수로 인간이 가질 수 있는 지식의 한계를 뛰어 넘고 있으며, 소셜네트워크를 활용한 서비스는 시공간을 초월하여 전 세계를 단일공동체로 묶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이는 땅 끝까지 복음을 전하는 방법이 변화 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ICT 기술을 선교와 사역에 활용하는 것은 중요한 과제임에 틀림이 없다. 본 강의에서 컴퓨터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개념과 실제적인 방법을 학습한다. 상세하게는 범용 컴퓨터 프로그램인 한글워드프로세서, 파워포인트 등의 초급과 고급기능을 습득하여 선교와 사역의 툴로 활용한다.
태권도선교 (Health & Life)CS0064
태권도는 2000년 시드니와 2004년 아테네 올림픽에 정식종목으로 채택되어 전 세계인의 스포츠가 되었다. 일본의 이름난 스포츠전문 잡지인 <스포츠 그래픽 넘버>의 '88 서울올림픽 특집호는 태권도에 대해 이렇게 썼다. '아마도 한국인이 낳은 문화유산 가운데 태권도처럼 세계적으로 보급된 문화는 없을 것이다. 거창하게 표현한다면 이조의 도자기나 현대의 자동차보다도 어쩌면 김치나 갈비보다도 온 세계에 널리 퍼져 침투한 것이 태권도다. 19세기 20세기가 교육과 의료의 선교였다면 21세기는 스포츠가 선교의 중심이 될 것이다. 그중 태권도는 21세기 국제화시대 지구촌시대를 맞이하여 한국적 선교상황에서 대화의 문을 열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선교도구이며 특히 모슬렘등 10/40(미전도 종족밀집지역) 창문지역에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강의를 통해 신체적 건강은 물론 21세기 효과적인 전문인 선교방법과 전략을 배워 국내, 외 선교현장에서 유용한 도구로 쓰여지게 될 것이다.
통일과 기독교 (Unity and Christian)CS0065
현대사회문제를 신학대학의 특성 을 살려 기독교적 관점에서 조명해보고자 하는 것이다. 특히 복음주의자는 사회와 어떠한 관계를 설정해야 하는가? 복음주의자의 사회참여는 성 경적으로 어떻게 해석될 수 있는가 하는 것을 함께 생각해 보는 시간이다. 왜 그리스도인들은 세상과 사회문제에 참여해야 하는가? 그에 대한 해결책으로 성경이 말 하는 것은 무엇인가? 등을 고민해 보는 시간이다. 또한 세상이 말하는 정의를 학자들에 따라 정리하고 기독교에서는 어떻게 정의를 다루는지도 함께 생각하고 고민해 본다. 사회에 대해 기독교가 어떠한 역할을 해야 하는지, 어떻게 빛과 소금이 될 수 있는지도 함꼐 고민해 본다.
평생교육프로그램 (Lifelong Education Program)CS0134
평생교육 프로그램개발은 다양한 지식과 정보를 중심으로 합리적이며 과학적인 의사결정을 하며, 그것들을 통합하고 체계화시키는 것이다. 이 과목은 (1) 평생교육 프로그램개발에 관련된 개념과 원리를 이해하고 (2) 실제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요구분석(기획), 설계, 개발(마케팅), 실행, 평가의 이론과 실천 능력을 기르는데 있다. 이를 통해 학습자는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그에 관련된 지식과 활용능력을 습득하도록 도움을 준다.
한국근현대사의 이해 (Underdstanding of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CS0011
근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의 한국 역사를 일반사관이 아닌 기독교적 관점에서 이해한다.
한국문학과 문화의 이해 (Understanding of Korean Literature and Culture)CS0067
우리가 살아가는 현장으로서의 한국 사회가 지닌 문화적 원형과 사유의 특징을 문학 작품이라는 구체적 현상을 통해 이해하고자 하는 강좌이다. 이를 위해 한국문학사에서 중요한 몇 개의 문학작품을 선정하여 읽어보고, 그것을 통해 한국문화가 지닌 특징과 사유 방식을 이해해 보고자 한다. 소설작품을 주텍스트로 하고, 필요에 따라 시 작품을 함께 분석해 본다.
한국사 1&2 (Korean History)CS0068
관광통역안내사와 국내여행안내사 자격 시험을 대비하여 관광국사 과목을 학습하기 위해 개설되었습니다. 국사는 2017년부터 대입 수능에서 국사가 필수과목으로 바뀌고 각종 고시에서 국사 과목의 비중이 늘어나고 있으며, 자격시험의 취득이 필수로 바뀌는 추세에 있습니다. 한국사에 대해 생소하고 어렵다고 느끼는 대학생들을 위해 우리나라 역사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갖추어 올바른 역사와 문화의 전달이 가능하도록 도움을 주고자 합니다.
한국사회의 약자들에 대한 기독교적 이해 (Understanding the Minorities in Korea)CS0121
기독교인들이 사회적 약자들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기독교인으로써 이웃을 사랑해야 하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다. 이웃을 사랑하는 것의 가장 기본적인 행동은 이웃을 이해하는 것이다. 우리의 이웃은 누구인가? 우리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이들이라고 사마리아인의 비유는 말한다. 사회적 약자가 기독교인의 이웃이다. 이 과목을 통해 우리는 우리 사회에 존재하는 사회적 약자들에 대해 성경을 토대로 이해하고, 이들을 위해 우리가 무엇을 할 수 있는지 모색하고 구체적으로 시도할 것이다. 이 과목은 NGO, 사회복지, 목회, 선교를 자신의 진로로 고려하는 학생들에게 교양 차원의 지식과 배움을 제공할 것이다.
한자와생활 (Hanja and Life)CS0015
중고등 학교에서 상용한자를 배웠지만 대개는 시험을 위한 임시 공부에 지나지 않는다. 그러므로 한자는 여전히 부담이 가는 글자이다. 이 과목에서는 처음부터 다시 한 번 한자와 친숙해지려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자의 형성과정과 구조를 파악하여 한자를 쉽게 파악하고, 부수와 고사성어를 학습하여 생활 속에서 한자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목적이 있다.
행복한 삶을 위한 탐색 (Happiness)CS0029
행복한 삶에 대한 철학적 탐구와 행복의 개념 및 조건에 대한 성찰을 통해 학생들이 자신의 삶을 검토하고 보다 바람직한 행복을 추구할 수 있도록 아름다운 인생, 성공적인 삶을 위한 길잡이와 가치관을 확립하는 교과목이다.
현대사회문제와 기독교 (Modern Problem and the Christianity)CS0069
현대사회문제를 신학대학의 특성을 살려 기독교적 관점에서 조명해보고자 하는 것이다. 특히 복음주의자는 사회와 어떠한 관계를 설정해야 하는가? 복음주의자의 사회참여는 성경적으로 어떻게 해석될 수 있는가 하는 것을 함께 생각해 보는 시간이다. 왜 그리스도인들은 세상과 사회문제에 참여해야 하는가? 그에 대한 해결책으로 성경이 말하는 것은 무엇인가? 등을 고민해 보는 시간이다. 세상이 말하는 정의와 기독교의 정의가 어떻게 다른지도 함께 생각해 본다.
현대사회와경제 (Modern Society and Economics)CS0020
전체 주제는 '토지와 돈이다. 두 변수는 한 경제의 성격을 규정하는 핵심으로, 특정 사회를 이해하는 데 꼭 필요하다. 수업의 공간 범위는 한국 사회를 중심으로 하면서 통일을 대비하여 북한의 제도들도 함께 살펴본다. 학습 방법은 이론적, 역사적, 정책적 접근법이다. 수업의 상반기는 토지를 중심으로, 하반기는 돈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상반기 : 1) 이론적 기초로, 성서의 내용과, 소유권에 대한 초기 기독교 교부들의 시각을 살펴본다. 또한 현대적인 관점에서 희년을 실현할 수 있는 이론적 접근법을 살펴본다. 2) 역사적 기초로, 토지가 한반도의 분단에 어떤 역할을 했는지, 현재 각 사회에서 어떤 사회문제를 야기하고 있는지 살펴본다. 3) 마지막으로 통일한국을 대비하여 현재 남북한의 토지제도가 어떻게 발전해 가고 있는지, 나아갈 방향이 무엇인지를 살펴본다. 하반기 : 1) 모든 소유권의 최종 형태인 돈의 본질을 통해 현대 사회와 경제를 이해한다. 2) 그리고 어떻게 하면 현행 화폐제도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지 그 대안적 노력들을 살펴본다. 3) 마지막으로 북한의 금융제도를 살펴보고, 북한의 경제적 자립을 돕기 위한 방안들로 기독 NGO인 '희년함께'가 추진하고 있는 '희년은행' 모델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Choir 1&2 (Choir 1&2)CS0017
채플찬양은 신학의 요람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의 매 주 드려지는 예배찬양이며 이 찬양은 신령과 진정으로 드려져야 하는 예배에 아름답고 준비된 찬양으로 하나께 영광을 돌리는 일이다.
English Bible 1&2 (English Bible 1&2)CS0074
영어 성경 (NIV) 의 기본 읽기(basic reading), 독해(comprehension), 해석(exegesis), 성경 이야기(Bible story), 비유(parable), 메시지(message), 설교(preaching) 등을 통해 영어 성경에 더 친숙해 지고, 읽고 이해할 수 있는 level에 가도록 한다.
English Presentation(Advanced) (English Presentation(Advanced))CS0076
영어 스피치를 잘 할수 있도록 훈련하고 코치하며, 스피치의 여러 방면으르 소개하고 연습한다. -영어 스피치는 설득(persuasion), 소개(introduction), 설교(preaching), 정보(informative), 이야기(sotry-telling) 등이 있다.
English Presentation(Basic) (English Presentation(Basic))CS0024
This course is for ACTS students who want to learn the principles of good presentation and practice their presentation skills in English. Every week students will prepare presentations to be given in class. These presentation will be given in class or through video media. The English level for this course is low intermediate to intermediate. CEFR B1-B2, TOEFL iBT 41-71, TOEFL Paper 437-513, TOEIC 405-605
English Writing1&2 (English Writing1&2)CS0025
기초적인 영어 글쓰기의 기본 원리에 따라 문장 구조, 문법, 쓰기 과정을 학습합니다. 다양한 주제의 읽기를 기초로하여 내용에 대한 이해와 토론을 바탕으로 쓰기활동을 연습합니다. Free Writing을 통해 일기형식의 Journal Writing을 연습합니다. 영어 글쓰기에서 확인하여야 하는 영문법과 기본 수준의 영어문장의 오류 수정에 대하여 학습합니다. Student Teaching 을 통해 연구한 내용을 발표합니다. 선행 학습(예습)을 통해 자기주도학습의 역량을 발전합니다.
IT의 전략적 활용 (Strategic Utiliza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CS0111
최근 인터넷, 소셜 네트워크, 빅데이타,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로봇, 가상현실 등 새로운 개념의 기술과 서비스들이 실용화 되고 있다. 이 변화의 원동력은 IT기술에 있다. 무엇보다도 클라우딩에 기반을 둔 기술 및 유틸리티 활용은 필수적인 기술로 자리잡고 있다. 최근 강력한 주목을 받고 있는 구글이 제공하는 클라우딩 컴퓨터 기술은 세계 어디에서도 손쉽게 활용하는 개인용 워크스테션을 제공하기에 선교사역, 교회사역, 및 직업에서의 혁명적인 변화를 가져다 줄 것으로 예상된다. 본 강의에서는 (1).클라우딩 컴퓨터 기술에 기반을 두고 있는 구글 스마트 유틸리티 툴을 다양하게 활용하는 것과 (2). 멀티미디어 프로그램인 도구인 무비 메이커(Movie Maker)를 활용하는 법을 배우는데 있다. 이를 통해서 학생들은 급속도로 변화하는 세상에서 창의적으로 사역을 준비하며 구글 스마트 유틸리티 툴과 멀티미디어 도구 (Movie Maker)를 활용하여 선교사역, 교회와 직장에서 활용 가능한 실제적인 능력을 키우고자 한다.
TED로배우는영화속바이오테크놀로지(OCU) (Understanding TED biotechnology by scenes in movies)CS0158
영화와 드라마 등 국내외 대중매체에서 다루어지는 다양한 바이오테크놀로지 소재들을 이해하고, 원리, 배경지식, 시사점을 탐구하는 과정 속에서 바이오테크놀로지에 대한 깊이 있는 지식을 습득하는 것이 본 교과목의 목표입니다. 그래서 본 강의는 해당 주차에 소개하게 되는 과학 기술을 소재로 하는 영화, 드라마 작품 감상을 추천드립니다. 수업 중에는 학생들의 이해를 돕고자 해당 기술을 친절하게 설명하여 드리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그리고 매 강의는 바이오테크놀로지 분야에서 가장 저명한 연구자, 교수님들의 강연을 통해 해당 기술분야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생명과학 분야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을 유발하게 될 것입니다.
공간예술의 이해 (Comprehension of Art in Space)CS0043
 
기업가 정신과 창업(KCU) (Entrepreneurship& Start up)CS0173
창업에 필수적인 기업가 정신함양과 창업에 대한 필수적인 노하우 습득
도시문화와디자인[OCU] (Urban cuture and design)CS0149
현대의 많은 사람들은 도시(都市)에서 살아가고 있다. 이러한 도시는 오랜 역사를 가지고 다양한 문화를 생성, 발전시켜왔다. 본 수업에서는 도시를 문화(文化)와 디자인의 관점에서 재조명해보고 문화적 의미의 도시를 살펴보고자 한다. 도시문화를 이해하기 위한 기본단계로 자연(自然), 인간(人間), 도시(都市)의 관점에서 도시역사를 살펴본다. 도시문화 분석단계에서는 공간문화, 시각문화, 유목문화, 여가문화, 예술문화, 과학문화 측면에서 도시문화를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도시디자인과 공공디자인의 측면에서 맥락디자인(Contextual design), 소통디자인(Communicative design), 참여디자인(Participative design), 통합디자인(Integrated design), 지속가능디자인(Sustainable design), 유니버설디자인(Universal design), 서비스디자인(Service design), 펀디자인(Fun design) 등의 도시디자인 전략 및 정책을 살펴본다
문화 속 디자인 여행(KCU) (Design trip in culture)CS0137
우리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생활 속 디자인을 통해 디자인 트렌드와 디자인의 중요성을 알고, 다른 분야와의 융·복합적 디자인을 살펴볼 수 있다. 디자인을 활용할 수 있는 영화, 음악, 브랜드, 디자인 트렌드 등과 함께 디자인에 대한 지식 전달과 사례 제시뿐만 아니라, 피교육자들이 스스로 사례를 찾아보고 적용해봄으로써 디자인에 대한 호감과 흥미를 갖도록 한다.
생활 속 화학물질과 건강(KCU) (Chemicals and Health)CS0136
일상생활에서 마주치는 화학물질의 건강영향을 이해
생활속의수학[OCU] (Mathematical Principles in Daily Life)CS0148
본 강좌에서는 일상생활 속에 활용되고 있는 수학적인 원리에 대하여 알아볼 것이다. 일상의 경험 속에 어떤 수학적 원리가 활용되고 있는지 찾아내어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수학이란 복잡한 계산과 수식의 덩어리가 아니라 우리 생활자체이며 사 회를 지탱시켜주는 기초임을 인식하게하고 일상생활 속에서 수학의 가치와 중요성을 깨닫게 한다. 또한 수학적 원리를 일상 중에 활용하고 합리적으로 사고할 수 있도록 하며, 과학기술이 고도로 발달된 현대사회를 살아가는데 유용한 자질을 갖추도록 한 다.
에너지와 생활(KCU) (Energy in Life)CS0135
에너지란 '일을 할 수 있는 능력'으로서 모든 생물을 유지시켜주는 원천이며, 인류문명의 원동력이다. 불의 발견, 증기기관의 발명 등 에너지 이용으로 인류의 문명은 빠른 시간 안에 비약적으로 발전해오면서 전자, 정보화가 꽃피어 있고, 자동차, 에어콘, 인공위성 등이 인간의 경제, 문화활동을 보다 더 편하게 도와주고 있지만 21 세기에는 인구는 폭발적으로 증가하여 소비량은 한층 더 증가 일로를 걷고 있어 에너지 위기에 당면하고 있다. 에너지 극복을 위한 국민의 에너지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영화로배우는자연재해[OCU] (Natural disaster learning from movies)CS0147
자연재해를 다룬 영화를 과학적으로 분석하여 태풍, 폭풍, 풍랑, 해일, 토네이도, 행 성충돌, 지진, 쯔나미, 화산폭발, 이상기후 등에 대한 이해를 넓힘
영화읽기(OCU) (Film as Literature)CS0160
문화 소비를 대표하는 영상작품(영화와 드라마)을 수강생이 지적으로 향유할 수 있 는 힘을 갖도록 하는 것이 이 수업의 목표이다. 영화 작품에 나타난 영화 언어 및 기 법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작품에 대해 꼼꼼한 '읽기'를 할 수 있어 창의적 비판의 식을 깊게 할 수 있도록 돕는다. 수강생은 이 과목을 통해 영화에 담겨있는 문화/기호 에 대해 진지한 관심을 갖게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인체안의 전쟁(KCU) (Wars in human body)CS0143
인체안에서 일어나는 전쟁과 같은 상황을 통해 의과학기술을 이해한다.
재미있는 미술이야기(KCU) (Interesting art stories)CS0144
 
현대인의 질병과 영양(KCU) (Human disease and nutrition)CS0157
영양소와 인체의 생리작용에 관한 기초지식을 바탕으로 영양불균형에 의한 질병의 발병 원리를 이해함으로써 건강한 삶을 유지하고자 한다.
현대한국정치의이해(OCU) (The Comprehension of Contemporary Korean Politics)CS0159
냉전 종식 이후 사회주의와 자유주의의 싸움에서 자유주의가 승리한 것은 기정사실화 했다. 그러나 세계화와 신자유주의시대에 경쟁과 효율 위주의 자유주의적 자본주의는 곳곳에서 심한 파열음을 일으키고 있다. 복지와 분배의 한 편에 성장과 효율이 충돌하 는 형국을 맞고 있는 것이다. 한국도 예외가 아니다. 성장의 과실에 대한 분배와 복지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면서, 정치와 사회는 민주화 이후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 정부 수립 이후 한국정치를 개괄하고, 우리가 처한 정치적 현실을 분석한다. 나아가 한국의 나아갈 길에 대한 전망을 정치 뿐만이 아니라, 경제나 사회, 문화 등 다각도로 분석하고 전망하고자 한다. 그리고 보다 나은 미래를 향한 프로젝트를 제시하는 것이, 본 강의의 목표이다.
IT기술의 현재와 미래(KCU) (Current and Future of Information Technology)CS0145
컴퓨터의 이론적 측면보다 활용적 관점에서 IT기술의 전반을 공부하고, 특히 IT기술의 융합(Convergence)을 강조한다. 최신 IT기술의 발전을 경제, 경영, 사회, 산업, 문화적 관점에서 조명하며, 우리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공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