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선택 |
LA0001 |
기독교교육과미디어입문 |
Introduction to Christian Education and Media |
교육과 미디어의 다양한 분야들을 소개하고 학생들이 이 분야에 구체적인 관심을 갖고 자신의 가능성을 개발하고 진로를 준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최초로 집중학기제도와 공동체 학습을 융합한 거꾸로교실 방법을 사용하여, 학과의 정체성과 공동체성을 확립할 수 있는 매우 좋은 기회를 제공한다. |
전공선택 |
CE0059 |
가르침과 배움의 원리 |
Teaching and leaning Theories |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교육의 3요소가 잘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즉 교육을 맡아 행하는 주체인 교사와 교육의 대상이 되는 학생, 그리고 그 교사와 학생이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연결해 주는 매체가 적절하게 조화를 이루어야 하는 것이다. 특별히 21세기 사회의 급격한 과학기술의 발달로 말미암아 전혀 새로운 기독교교육의 환경과 다양한 매체들이 우리에게 펼쳐지고 있다. 본 과목은 이와 같은 새로운 교육환경과 교수매체들을 올바로 이해하고 앞으로 다가올 새로운 형태의 기독교교육의 틀을 준비할 수 있도록 학생들을 도울 것이다. |
전공선택 |
CE0035 |
CFLE(기독교가정생활교육) |
Christian Family Life Education |
하나님은 태초에 교회의 가장 기본적인 단위로서의 가정을 세우셨다. 기독교가정생활교육사과정의 입문으로서 이 과목은 신본주의와 복음주의 신학에 입각한 건강한 가정을 세우는 교육과정에 필요한 기초 지식들을 배우게 될 것이다. 기독교 가정생활 교육과정은 성경적인 가족시스템 이론에 입각하여 교육을 통한 문제"예방"에 초첨을 둔다. 건강한 가족기능을 위한 지식과 기술들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다. 이를테면 의사소통의 기술, 인간발달이론, 바른 의사결정을 위한 지혜, 건강하고 긍정적인 자아상, 건강한 인간관계 등이 바로 그것들이다. |
전공선택 |
CB0002 |
미디어 커뮤이케이션의 이해 |
Media Understanding and Worldview |
이 수업은 미디어커뮤니케이션 전반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주지하다시피 미디어는 우리의 일상이 되었고, 계속되는 미디어 기술의 발달로 커뮤니케이션의 형태는 물론 정치, 문화, 경제 분야 또한 지속적으로 변하고 있다. 이에 본 수업은 미디어커뮤니케이션을 유형 및 분야별로 살펴보고, 미디어 기술의 변화 속에서도 변치 않는 커뮤니케이션의 본질은 무엇인지 탐색한다. |
전공선택 |
CE0012 |
기독교교육심리 |
Christian Educational Psychology |
교육심리학은 학습자, 학습, 그리고 교수에 대한 연구로서 모든 교사가 매일의 교육 현장에서 부딪치는 다양한 문제들을 지혜롭게 해결하기 위해 갖추고 있어야 하는 지식이자 실천적 이론이다. 특별히 본 수업은 교육의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교육현상을 심리학적인 이해와 기독교세계관적인 안목으로 해석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줌을 통해 예비 기독교사들이 다양한 문화와 다양한 교육적 정황에서 효과적으로 가르칠 수 있는 이론적인 바탕과 실제적인 능력들을 가지게 될 것이다. |
전공선택 |
|
인공지능 시대의 교수매체의이해와 개발 |
|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교육의 3요소가 잘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즉 교육을 맡아 행하는 주체인 교사와 교육의 대상이 되는 학생, 그리고 그 교사와 학생이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연결해 주는 매체가 적절하게 조화를 이루어야 하는 것이다. 특별히 21세기 사회의 급격한 과학기술의 발달로 말미암아 전혀 새로운 기독교교육의 환경과 다양한 매체들이 우리에게 펼쳐지고 있다. 본 과목은 이와 같은 새로운 교육환경과 교수매체들을 올바로 이해하고 앞으로 다가올 새로운 형태의 기독교교육의 틀을 준비할 수 있도록 학생들을 도울 것이다. |
전공선택 |
|
저널리즘의 이해 |
|
이 수업에서는 뉴스가 생산 및 유통되는 전반적인 과정을 학습하고, 다양한 유형의 기사를 직접 작성해보는 시간을 갖는다. 이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간결한 언어로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는 능력을 기를 뿐만 아니라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그리스도인들이 왜 뉴스를 읽어야 하는지 깨닫게 될 것이다. |
전공선택 |
|
청소년사역의이해와실제 |
|
|
전공선택 |
|
교수법 및 교재개발 |
|
교수법이란 일반적으로 어떠한 교육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요구되는 제반 수단 및 방법을 가리키는 말이다. 또한 교재는 학생들을 가르치고 계획된 교육의 결과가 나타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중요한 보조재이다. 그러므로 이 과목은 한 사람의 기독교사가 기독교교육의 본질적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어떠한 방법들과 수단들을 어떠한 매체를 가지고 사용할 것인가 하는 고민을 다루는 과목이다. |
전공선택 |
CE0047 |
교수매체의 이해와 개발 |
Instructional Technology and Media for Learning |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교육의 3요소가 잘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즉 교육을 맡아 행하는 주체인 교사와 교육의 대상이 되는 학생, 그리고 그 교사와 학생이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연결해 주는 매체가 적절하게 조화를 이루어야 하는 것이다. 특별히 21세기 사회의 급격한 과학기술의 발달로 말미암아 전혀 새로운 기독교교육의 환경과 다양한 매체들이 우리에게 펼쳐지고 있다. 본 과목은 이와 같은 새로운 교육환경과 교수매체들을 올바로 이해하고 앞으로 다가올 새로운 형태의 기독교교육의 틀을 준비할 수 있도록 학생들을 도울 것이다. |
전공선택 |
CE0060 |
미디어와 대중문화 |
Mass Media and Christian Education |
이 수업은 미디어와 그것이 만들어내는 대중문화를 다각도로 조망하는 과목이다. 특별히 현재 대한민국에서 가장 각광받는 문화적 현상이나 콘텐츠를 분석함으로써 미디어 및 대중문화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힌다. |
전공선택 |
CE0042 |
다문화 현장교육론 |
Education in Multicultural Society |
한국사회가 본격적으로 다문화사회에 접어 든 지금, 다문화사회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우리가 살아하는 사회속에서 기독교 교육/학교 현장에서 다문화교육을 어떻게 진행할 것인가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과 기능을 연마하고, 다문화사회에 대응하는 바람직한 복음주의/신본주의적인 태도를 함양하는 수업이다. |
전공선택 |
CB0001 |
미디어콘텐츠제작입문 |
Introduction to Media Contents Creating |
오늘날 미디어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 되며 교육 환경에도 미디어 콘텐츠의 활용이 필수적인 상황이다. 이에 전문화된 교육 콘텐츠를 기획 ∙ 제작할 수 있는 기독교 교육 콘텐츠 개발의 초석을 다지는 입문 과정으로 한다. |
전공선택 |
CE0064 |
미디어 리터러시교육 |
Media Literacy Education |
정보와 미디어의 홍수 속에 살아가는 현대 사회 속에서 자신이 필요한 정보를 현명하게 선택하고 분별력 있게 판단하며 효율적으로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는 능력인 미디어 리터러시의 중요성은 점점 커지고 있다. 특별히 기독교 세계관을 가지고 이 세상을 살아가고 섬길 기독교사와 사역자, 그리고 기독 시민들에게 있어서 이 미디어 리터러시 능력은 반드시 갖추어야 할 필수적인 역량이며, 무엇보다 앞으로의 사회를 살아갈 다음 세대들에게 키워주어야 할 가장 중요한 역량이라 할 수 있다. 본 과목은 기독교교육의 새로운 강조점으로 떠오른 미디어 리터러시 능력을 키워주며, 또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할 수 있는 기독교사로 준비하게 하는 과목이다. |
전공선택 |
CE0002 |
성경교수법 |
Bible Teaching |
기독교교육에 있어서 성경은 너무나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기독교교육의 토대를 이루는 기초임과 동시에 그 가르침의 내용이 되며, 진리를 구별하는 필터의 역할과 동시에 이 세상을 해석할 수 있는 시각을 제공하는 안경의 역할도 한다. 그러므로 기독교사는 이 성경에 대해 누구보다 올바르게 이해하고 있어야 하며 이 귀한 하나님의 말씀을 보다 효과적으로 다음 세대에게 가르치고 전해야 한다. 본 수업은 이를 위해 기독교교사로서 성경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와 함께 그 내용을 보다 잘 가르칠 수 있는 다양한 교수방법을 함께 연구하게 된다. 무엇보다 다양한 실습과 그룹 프로젝트들을 통해 영원히 변하지 않는 하나님의 말씀을 급변하는 문화와 다양한 교육적 정황에서 효과적으로 가르칠 수 있는 이론적인, 그리고 실제적인 능력들을 가지게 될 것이다. |
전공선택 |
|
스피치 커뮤니케이션 |
|
이 수업에서는 토론 전반에 대한 기술을 학습한다. 수업 전반부에서는 논리학의 기본 개념부터 논증을 전개하는 기술 및 표현 방법을 익히고, 후반부에서는 다양한 논제를 중심으로 토론을 직접 해보는 시간을 갖는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토론의 진가가 무엇인지 직접 느끼게 될 것이다. |
전공선택 |
|
1인 미디어제작및운영 |
|
|
전공선택 |
CB0004 |
콘텐츠 엔지니어링 |
Contents Engineering |
콘텐츠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와 효율적인 전달 방식의 훈련을 통해 개인적으로는 자기 소개서를 비롯해서 기업, 방송, 언론, 홍보 영역 등 다양한 영역에서 요구되는 콘텐츠의 창작과 전달의 능력을 배양한다. |
전공선택 |
CE0041 |
기독교학교교육원리 |
Foundations of Christian School Education |
ACSI 자격증 취득을 위한 필수과목으로, 자격증과는 별도로 기독교 학교 교육에 관심 있는 학생들도 교사로서의 개인적 교육 철학 진술문을 개발하는 과정을 도와줄 것이다. |
전공선택 |
CE0031 |
교육실습 |
Education Field Work |
ACSI자격증을 준비하는 학생들을 위한 실습 과목으로 학교현장에서 기본 16회의 실습과정을 통해 기독교 대안학교 교육을 경험하는 과목이다. |
전공선택 |
|
교육과정과PBL |
|
|
전공선택 |
|
미디어 비평론 |
|
이 수업은 민주 시민의 의무이자 권리인 미디어 비평에 대해 학습하고, 미디어의 사회적 역할을 다각도로 조명해 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학생들은 이 수업을 통해 미디어 비평에 필요한 이론적 개념뿐만 아니라 다양한 방법론을 학습하게 될 것이다. 또한 수업에서 배운 내용을 토대로 미디어 텍스트를 직접 비평해봄으로써 미디어 텍스트를 사회문화적 맥락과 기독교적 안목에서 읽어내는 역량을 기르게 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