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선교영어학과

선교영어학과 교육과정 개요
인재상

타문화권에서 영어를 가르치는 선교사

특성화 역량
  • 선교와 세계시민기본능력 함양
  • 영어능력 강화
  • 영어교육 능력함양
교육목표
  • 여러 나라의 사람들과 소통과 협력이 가능한 타문화권 선교사
  • 기독교적 관점과 신앙으로 영어를 가르치는 교사
  • 기독교적 관점과 신앙으로 어려움에 처한 사람을 돕는 NGO직원
  • 선교에 대한 이해와 열정을 가진 목회자

교육과정 편성표

선교영어학과 교육과정 편성표
구분 학년 1학기 2학기
교과번호 과목명 학점 교과번호 과목명 학점
전필 1   ME0028 Introduction to Linguistics 3
2 ME0046 English Speech Art
(대체: 실용영어회화)
3 ME0025 English Syntax
(대체: English Reading)
3
3 ME0038 문화인류학 3 ME0021 Cross-Cultural Communication
(대체:영미문화의이해)
3
  ME0033 Second Language Acquisition
(대체:스토리텔링교수법)
3
전선 1 ME0013 Basic English Reading Practice
(폐지)
3 ME0026 Global English Practice
(폐지)
3
ME0005 English Composition 3 ME0031 Readings for Mission
(폐지)
3
ME0012 English Phonetics
(폐지)
3 MI0036 선교의성경적기초
(대체: 사역의성경적원리)
3
ME0045 Structure of English
(폐지)
3  
2 ME0003 Eng.Listening Practice
(폐지)
3 ME0022 English Practice Ⅱ
(폐지)
1
ME0016 English Practice
(폐지)
1 ME0030 Practical English for Mission
(폐지)
3
ME0006 English Teaching Principles & Methods
(폐지)
3 ME0032 Screen English 3
ME0015 Global English Practice2
(폐지)
3 MI0035 선교신학
(폐지)
3
ME0004 Theology of Mission
(폐지)
3  
3 ME0017 English Practice Ⅲ
(2023년 폐지)
1 ME0023 English Practice IV
(2023년 폐지)
1
ME0049 Mission & Spirituality
(2023년 폐지)
3 ME0035 Teaching English Listening & Speaking 3
ME0048 Teaching English through Storytelling 3 ME0039 예술, 문화, 선교
(2023년 폐지)
3
ME0010 시사영어 3  
4 ME0011 Academic English Writing 1
(2024년 폐지)
3 ME0040 Business English 3
ME0051 Advanced Writing
(2024년 폐지)
3 ME0041 English Practice Ⅵ
(2024년 폐지)
1
TH0049 English Practice V
(2024년 폐지)
1  
ME0050 Teaching English in Reading & Writing 3

전공필수

문화인류학 (Mission Anthropology)ME0038
현대 기독교 사역(선교 사역)을 수행함에 있어 문화 이해는 선택이 아닌 필수조건이라는데 누구도 이의를 제기하지 않는다. 모든 사람은 하나의 생존구조인 특정한 문화 안에서 태어나 그 문화 속에서 양육받기 마련이다. 따라서 특정인의 세계관과 가치체계, 그리고 행동양식은 그 사람이 태어난 문화가 정한 재조건들에 의해 상당 부분 규정될 수밖에 없다. 현재의 문화를 이해함에 있어 특별히 어려움이 따르는 이유는, 모든 문화가 정태적이지 않고 끊임없이 유동한다는 점에서 기인한다. 시대의 변화와 흐름에 따라 문화의 유동 속도가 더디게 흐르기도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그 변화 속도가 급속한 경우도 허다하다. 특히 기술 발달에 문화 형성의 상당부분을 의존할 수밖에 없는 현대의 문화변동은 그 속도를 가늠하기조차 여려울 지경이다. 시공을 초월하여 진리인 복음을 전하는 기독교 사역(선교 사역)은 그렇게 유동적일 수밖에 없는 문화 안에서 살아가는 사람을 대상으로 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보다 적절한 복음전달을 위해 변화 중에 있는 문화이해가 필수적일 수밖에 없다. 본 과목은 문화인류학적 입장이 규명하는 문화 이해를 통해 변하지 않는 복음을 유동하는 문화에 전하는 것이 갖는 의미에 대해 살펴보고 적용점을 모색해 볼 것이다.
선교역사 (Mission History)MI0025
기독교 역사를 선교학적 관점에서 재해석하고, 그 과정을 통해 도출된 다양한 통찰들이 오늘날의 선교현장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도 함께 고찰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역사를 통해 나타난 기독교 선교의 성장, 확장, 그리고 후퇴 등의 과정을 이해하는 것에 그 초점을 두고 있다. 본 과목을 이수한 학생들은 1)연구 자료들에 함축된 의미를 인식하여 오늘날의 선교를 위한 원리, 이론, 주요 논지들을 추론하고, 2)주요 선교운동들과 사건들을 통하여 선교역사를 개괄하며, 3)교회의 지리적 확장과 기독교 역사의 주요 사건들과 흐름을 인지하고, 4)기독교 확장의 중심인물들 및 선교의 도구들을 확인하게 된다.
Cross-Cultural Communication (Cross-Cultural Communication)ME0021
현대사회에서 의사전달 능력의 확보는 관계 형성을 위한 전제조건이다. 과거 선교를 선포의 영역으로만 이해했을 때, 의사소통 능력은 선교 사역의 성립을 위한 필수조건으로 인식되지 않았다. 그러나 현대선교가 선포(proclamation)뿐 아니라 설득(persuasion)도 필요조건으로 수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사전달 능력의 확보는 선교를 위해 반드시 갖추고 있어야 할 기본 자질로 인식되고 있다. 본 과목은 선교사역의 건강한 성취를 위한 타문화의사전달(Cross-Cultural Communication) 능력을 배양하기 위해 필요한 제 조건들을 살펴보고 습득하는데 초점을 맞출 것이다. 본 과목은 의사전달론 습득 자체에 목적을 두는 것이 아니라 선교를 위한 타문화의사전 능력을 배양하는데 목적이 있으므로, 그 목적에 부합되도록 수업 내용을 구성할 것이다.
English Speech Art (English Speech Art)ME0046
The purpose of this course is to train students in the art of speech in English language. The primary resources for training are the biblical and theological texts. Through personal coaching and training, the students will be able to articulate themselves more proficiently in English. Their training is comprised of (1) recitation of biblical texts; (2) vocal techniques and exercises; and (3) speech presentations of diverse types.
English Syntax (English Syntax)ME0025
언어학의 한분야로써, 문장을 기본 대상으로 하여 문장의 구조나 기능, 문장의 구성 요소들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Introduction to Linguistics (Introduction to Linguistics)ME0028
언어의 특성을 나타내는 핵심요소인 통사론, 의미론, 형태론 및 화용론 뿐 아니라 언어가 실제 생활환경에서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가에 관해 연구를 하는 언어학의 응용의 측면에 관해서 이해하고자 한다. 특히 외국어 학습과 해외선교를 위해서 외국어로서 영어를 준비하는 학생들이 반드시 알아야 할 기초과목이며 상급학교 및 국내외 대학원을 진학하고자 하는 학생들도 반드시 이수해야 할 과목이다.
Language Use and Culture (Language Use and Culture)ME0007
언어교육에 있어서 언어를 올바르게 사용하기 위해서 배우고자 하는 문화를 반드시 이해해야하는 것은 동전의 양면과 같이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다. 그래서 영어를 외국어로 습득해야만 하는 한국의 상황 속에서 학생들에게 청교도정신에 입각하여 설립된 미국의 역사, 지리, 교육, 종교, 음악, 미술, 영화 등 미국문화를 각 분야별로 상세하게 이해해 보고자 한다. 아울러 다문화교육이 강조되는 현재의 한국의 상황 속에서 한국문화와 영미권 중에서 특히 미국문화를 비교하고 분석해 봄으로써 원어민과의 의사소통에 있어서 문화적인 측면의 갈등요인을 최소화하여 극복해 볼 수 있는 방안도 함께 모색해고자 한다.
Second Language Acquisition (Second Language Acquisition)ME0033
언어습득 중에서 특히 제2언어 (외국어)인 영어를 습득하는데 필요한 기본적인 이론과 습득 과정을 다양한 사례를 통해서 살펴본다. 기초가 부족한 학생들도 이 과목을 통해서 해외선교를 위한 외국어 습득에 관한 이론적인 기초를 다지며 다양한 측면에서 언어습득을 이해할 수 있게된다. 졸업 후 일반 대학원 및 선교 및 TESOL 대학원에 진학하기 위한 학생들이 반드시 수강해야 할 과목이며 단기 혹은 장기 해외선교를 준비하는 학생들에게도 반드시 수강해야 할 과목이다.
Understanding of Mission English (Understanding of Mission English)ME0009
선교영어학을 전공으로 선택한 학생들에게 선교영어학에 대한 기초적 지식을 제공합니다. 선교영어학의 기본적 이해를 위해 필요한 것은 변화하는 세상에 대한 이해와 이러한 세상에 대한 교회의 응답들이 무엇이었는가를 알아야 한다. 이것들을 바탕으로 21세기의 선교 경향을 예측하고 자신의 삶과 사역을 준비할 수 있다. 그리고, 영어의 국제적 이해를 바탕으로 영어가 기독교 사역에서의 위치와 영어를 통한 사역들에 대한 이해를 학생들이 구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 과목은 학생들이 앞으로 4년간 배울 교과과정을 미리 갸늠할 수 있도록 돕는다. 다양한 과제들을 통해 학생들은 개념적 이해 뿐 아니라 영어의 실제 연습도 하게 된다.

전공선택

선교의성경적기초 (Biblical Foundation of Mission)MI0036
선교에 대한 성경 연구를 통해서 성경 전체에서 말하는 선교를 연구하게 한다. 이 과목을 통해 수강자는 성경 전체를 선교적 관점에서 볼 수 있을 뿐 아니라 성경적인 선교의 체계를 갖게 된다. 이 과목은 구약개론과 신약개론에 대한 기본 지식을 기초로 한다
선교신학 (Theology of Mission)MI0035
선교의 성경적 기초는 무엇인지, 선교의 동기와 수단은 무엇인지, 그리고 지역적 세계적 상황에서 선교는 어떠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성경에 기초해서 그 답을 찾아간다. 이 과목은 선교를 해야 하는 성경적 당위성, 선교의 동기와 수단이 무엇인지 성경적으로 확립한다. 또한 오늘날 선교적 상황에서의 중요한 이슈에 대한 성경적 관점을 확립한다.
시사영어 (English on Current Issues)ME0010
정치, 경제, 문화, 교육, 과학등의 주제를 포함하는 시사적 내용의 영문으로 된 신문, 방송, 잡지,인터넷등의 기사를 학습할 뿐 아니라 생동감 넘치는 real broadcasting English 를 듣고 그 내용을 파악하고자 한다. 신학대에서 학습하는 학생들이 비신학대학의 학생들에 비해서 소홀히 하기 쉬운 사회적 이슈 에 대해 다양한 미디어 매체를 사용하여 파악하고 그룹토의 및 개인과제를 통해 영어의 읽기 및 듣기능력을 향상시킨다. 또한 비판적인 시각에서 시사적인 문제들을 올바르게 파악하여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다.
예술, 문화, 선교 (Creative Arts and Mission)ME0039
예술에 대한 문화적, 선교적, 신학적, 영성적 개념들을 다루며 다양한 예술분야(음악, 댄스, 마임, 드라마, 시, 미술, 디자인, 미디아, 테크노아트 등)를 영성/미학 신학적 관점에서 연구하며 경험한다.
Advanced Writing (Advanced Writing)ME0051
Advanced Writing 은 다양한 주제의 읽기를 기초로하여 내용에 대한 이해와 토론을 바탕으로 쓰기활동을 연습합니다. 서론, 본론, 결론의 3 문단 이상의 에세이 (Academic Writing 학술적인 쓰기)를 완성하고 발표하게 됩니다. Prewriting (쓰기 전 아이디어 모으기) - Drafting (고쳐 적기) - Revising (내용검토) - Editing (형식검토) 의 Process writing을 습득합니다. Free Writing을 통해 일기형식의 Journal Writing을 연습합니다. 영어 글쓰기에서 확인하여야 하는 기본 수준의 영어문장의 오류 수정에 대하여 학습합니다. Student Teaching 을 통해 연구한 내용을 발표합니다. 선행 학습(예습)을 통해 자기주도학습의 역량을 발전합니다.
Basic English Reading Practice (Basic English Reading Practice)ME0013
학생들이 영어로 쓰여진 텍스트를 읽고 그 의미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 구문 분석을 이용하여 독해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개설된 과목이다. 학생들이 고등학교때까지 습득한 영어의 기본지식을 바탕으로 차근차근 쉬운영어 주제의 내용을 포함하는 영어문형들을 다양하게 연습해 봄으로써 영어읽기에 관해 자신감을 갖게 되어 공인영어시험인 토익과 텝스에서 좋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
Business English (Business English)ME0040
Business English is designed to provide knowledge and skills needed for effective communication at the workplace. Students will learn the principles of business English, which will include business email writing, business conversations and presentation. 학생들에게는 다소 생소할 수 있는 비즈니스 현장에서 사용되는 영어의 다양한 측면을 소개하고 학습함으로써 학생들로 하여금 비즈니스 영어사용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하며, 여러가지 비즈니스 정황을 토대로 현장감을 높이고 또한 학생들로 하여금 취업에 관련된 영어를 배우고 대비하도록 합니다. 레쥬메, 영어인터뷰 등 졸업에 필요한 영어를 함께 준비할 수 있는 수업입니다.
Eng.Listening Practice (Eng.Listening Practice)ME0003
"This class is designed to improve students' listening skill through interesting topics and effective techniques. Students will develop listening strategies that can be used beyond the classroom. 흥미로운 주제와 효과적인 듣기 기술을 통해 학생들의 듣기 실력을 향상시키는 수업입니다. 여러가지 듣기 전략을 배우고 연습하므로 다양한 분야의 영어 듣기를 훈련합니다"
English Composition (English Composition)ME0005
This class provides students strategies and practice in English writing. Students will be guided through stages of writing: generating ideas, drafting, revising, proofreading, and editing. In this class, students will generate one to three paragraph essays on different topics. This class targets low intermediate level students.
English Practice (English Practice)ME0016
선영과의 1학년 과정을 이수한 학생들 중에서 공인영어시험인 TOEIC에서 500점 이상을 획득하지 못한 학생들의 영어시험준비를 위해 개설되었으며, 의무적으로 이 과목을 수강해야만 2학년 선영과 교과목을 선택할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진다. 토익의 L/C와 R/C의 분량을 한 학기에 다루기에는 벅차기 때문에 두 학기에 걸쳐서 학습하고자 한다. 2학년의 1학기에 개설된 English Practice과목에서는 토익의 Reading Comprehension(RC)의 영역을 다루며 2학기에는 Listening Comprehension(L/C)을 다루도록 되어있다. 그래서 본 강의에서는 TOEIC 의 Reading Part를 심도있게 분석하여 학생들의 영어문법 및 독해능력의 향상을 위해 한 학기동안 집중적으로 훈련시키도록 하고자 한다. 학생들이 흥미를 갖고 집중적으로 공부를 하여 TOEIC 점수 향상 뿐 아니라 일반 생활영어능력의 향상을 함께 향상시키고자 개설한 과목이다.
English Practice Ⅱ (English Practice Ⅱ)ME0022
선교영어학과 학생들이 영어 실력을 향상하는 것을 돕기 위해 개설되는 과목이다. 이 과목은 토익시험의 RC 파트 중에서 지문 읽기에 집중하여 공부한다.
English Practice Ⅲ (English Practice Ⅲ)ME0017
선교영어학과 3학년 토익 미이수자들을 위한 수업입니다. 토익에서 요구하는 기본적인 듣기파트의 점수향상을 위해서 문제풀이와 설명을 위주로 수업을 진행예정입니다.
English Practice IV (English Practice IV)ME0023
English Practice IV 과목은 학습자들이 기초적인 영어문법실력을 토대로 토익시험의 다양한 문제 유형을 분석하여 연습함으로써 학습자 자신들이 자신의 약점을 파악해서 토익에 관해 더욱 자신감을 가질 수 있습니다. 또한 실제로 LC 및 RC part 에서 출제 되었던 다양한 문제들을 사용해서 연습을 함으로 듣기 및 읽기영역에서 균형잡힌 영어감각의 실력을 갖춘 학습자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 본 과목을 성실하게 이수한 학습자들은 자율적으로 외부의 도움 없이도 어떠한 토익문제에 직면해서도 당황하지 않고 침착하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학습능력을 가질 수 있게 됩니다. 이것을 토대로 영어의 말하기 영역에도 도전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할 수 있게 됩니다.
English Practice V (English Practice V)TH0049
선교영어학과 학생들이 영어 실력을 향상하는 것을 돕기 위해 개설되는 과목이다. 이 과목은 토익시험의 RC 파트 중에서 문법 문제 풀기에 집중하여 공부한다.
English Practice Ⅵ (English Practice Ⅵ)ME0041
선교영어학과 4학년 토익 미이수자들을 위한 수업입니다. 토익에서 요구하는 기본적인 독해파트의 점수향상을 위해서 문제풀이와 설명을 위주로 수업을 진행예정입니다.
English Teaching Principles & Methods (English Teaching Principles & Methods)ME0006
영어교수법(English Teaching method)에 관련된 과목으로 과거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EFL 교실이나 영어교육기관에서 행해지고 있는 영어를 가르치는 다양한 방법들에 관해서 고찰하는 수업이다. 학생들에게 영어의 네 가지 기능(읽기, 쓰기, 말하기, 듣기)을 향상 시키기 위한 가장 적합한 방법을 심리학적, 사회문화적인 시각에서 살펴본다. 학습한 영어교수법을 바탕으로 언어를 가르치는 교실수업을 관찰하고 기록하며 수업에 참여함으로써 교수법의 이론을 실천을 통해 파악하며 각각의 교수법의 장단점에 관해서도 심도있게 이해하게된다. 이와 함께 학습자 개개인의 교수전략, 특성 및 영어학습 방법에 관해서도 토의를 하며 학습연령이 교수법을 통한 학습에 어떻게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지에 관해서도 알아 보고자 한다. 본 과목은 졸업 후 목회 및 선교현장, 교회부속 어린이 영어유치원, 성인영어학원 및 영어공부방에서 영어를 보다 효과적으로 가르치고자 하는 학생들을 위해 개설되었다. 또한 영어권으로 가서 영어교육 및 선교학의 학위를 목표로 유학을 가고자 하는 학생들이나 유학하는 영어권의 현지에서 영어 및 한국어을 가르칠 계획을 갖고 있는 학생들도 반드시 수강해야만 할 과목이다.
Global English Practice (Global English Practice)ME0026
This course is for students with a high beginner English level (CEF A2; TOEIC 225-549; TOEFL 337-459) and requires demonstration of English ability level for this course. This course is an easier skill level than 2017 Academic English 2. Students looking for a challenge are recommended to take Practical English for Mission (ME0030) or Academic English 3 (CSTU0272). This course will have students use all aspects of the English language (reading, writing, listening, speaking, grammar and vocabulary). It will connect to various themed topics like urbanization, poverty, food production, changes and challenges.
Global English PracticeII (Global English PracticeII)ME0047
This course is builds upon the language skills and themes of Global English Practice 1. We are called to minister, missions, and activism. These are not mutual exclusive, but unified under God's kingdom. Topics of discussion may include: culture, changing planet, survival, money vs. wealth, competition, space. The course includes National Geographic and TED Talks videos to watch and discuss. A TOEIC score of 405+, TOEFL paper 437+, TOEFL iBT 41 or more is recommended. A successful English level test will be required.
Mission & Spirituality (Mission & Spirituality)ME0049
The purpose of this course is to help the students to understand the biblical perspective and practical dimensions of Christian spirituality, in order for them to establish a more deep and holistic foundation for Christian life, ministry, and mission. 이 과목은 학생들이 기독교 영성에 관한 성경적 관점과 실천적 측면을 이해함으로써 삶과 사역, 그리고 선교에 있어서 보다 깊고 총체적인 기반을 마련하도록 돕는다.
Practical English for Mission (Practical English for Mission)ME0030
This course is for students seeking English practice for short or long mission trips. This class provides some of the basics for being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Christian missionaries. missionaries. It will cover topics: defining missions and missionary activities; historical, biblical, and cultural perspectives of missions; effective gospel sharing and mission strategy; incarnational ministry; and changing from being a worldly Christian to becoming a World Christian. This is an intermediate English level course because of the specialized vocabulary and course content. This class provides some of the basics for being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Christian
Readings for Mission (Readings for Mission)ME0031
This class is for those who need to be exposed to English literature in the field of Mission. Students will be reading different types of literature such as the Bible and research papers on Christian Mission. 영어 성경과 영어로 씌여진 선교학 논문 등을 통해 선교에 관련된 글과 어휘 를 접하고 선교에 대한 마음을 키우며 영어 실력도 증진시키는 수업입니다.
Screen English (Screen English)ME0032
학습자들이 전통적인 텍스트 위주의 영어학습 방법을 탈피하여 영상매체인 영어권 영화를 중심으로 주인공과 배역을 맡은 인물들의 다양한 역할을 스크린을 통해관찰하면서 생생하게 그리고 흥미롭게 영어원어민들의 생동감있는 구어체 영어를 학습하고자 한다. 학습자들이 일상생활 가운데 빈번하게 사용하는 다양한 영어표현법을 실제 교실에서 짝을 이루어 연습해 봄으로써 영어의사소통 능력의 중요한 부분인 듣기및 말하기 능력을 능동적으로 자연스러운 분위기에서 향상시킬 수 있는 과목이다.
Structure of English (Structure of English)ME0045
영어의 문장을 구성하는 단어, 구, 절을 살펴 봄으로써 독해능력과 쓰기능력에 향상에 도움을 주고자합니다.
Teaching English Listening and Speaking (Teaching English Listening and Speaking)ME0035
"영어교육에서 필요한 쓰기와 독해 부분을 다룰예정입니다. 여러가지 교수학습이론을 알아보고, 이것들을 통하여 효과적인 쓰기수업과 독해수업의 모델을 만들어내는 수업입니다. 영어교육학에 관심이 있는 학생이라면 관심이 갈수 있는 과목이라고 생각됩니다. "
Teaching English in Reading & Writing (Teaching English in Reading & Writing)ME0050
영어교육에서 필요한 쓰기와 독해 부분을 다룰예정입니다. 여러가지 교수학습이론을 알아보고, 이것들을 통하여 효과적인 쓰기수업과 독해수업의 모델을 만들어내는 수업입니다. 영어교육학에 관심이 있는 학생이라면 관심이 갈수 있는 과목이라고 생각됩니다.
Teaching English through Storytelling (Teaching English through Storytelling)ME0048
스토리텔링'은 언어교육의 기본 목표인 의사소통 능력의 획득이라는 기능적 측면 뿐만 아니라 정서적 발달 및 창의성 개발이라는 기타 측면의 효과를 겸비하여 최근 학계 뿐 아니라 실제 영어교육 현장에서 주목받고 있는 언어교육 방법입니다. 특히 유아의 경우 문법을 통한 수업이 불가능하므로 유아 영어교육에서는 필수적인 기법이라 할 수 있고, 근래는 스토리텔링 수학, 스토리텔링 영어와 같이 초등, 중등에까지 확대되어 교사들이 효과적인 교수 방법의 하나로 채택하여 활용하고 있습니다. 이 수업에서는 스토리텔링이란 무엇이며, 실제 생활에서 어떻게 접목되고 있는지 기본적으로 살펴보고, 그러한 스토리텔링 기법을 활용한 영어교육의 이론적 배경, 유용성, 스토리텔링 수업 과정의 준비 이론 및 연습, 현장 교사들의 스토리텔링 수업 관찰하기를 통해 영어교육 방법으로서의 스토리텔링을 전반적으로 배웁니다. 그후에는 자신만의 스토리텔링 수업을 구상하여 봄으로써 졸업 후에 현장에서 즉시 응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훈련합니다. 이론만으로 이루어진 수업이 아닌 경험적 수업으로 흥미있고 유용한 수업이 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신입생 본전공 이수학점

신입생 본전공 이수학점에 대한 설명
대상 대상 학과 본전공만 이수 연계전공 이수 복수전공 이수 부전공 이수 교양학점
2014학년도 이전 입학자 전체학과 45 - 35 21 42
2015학년도 입학자 신학과 50 - 40 21 42
선교문화복지학과 50 - 40 21 42
기독교교육상담학과 50 - 40 21 42
선교영어학과 60 - 45 30 42
선교중국어학과 60 - 45 30 42
2016학년도 입학자 신학과 50 - 40 21 42
선교문화복지학과 50 - 40 21 42
기독교교육상담학과 50 - 40 21 42
선교영어학과 60 - 45 30 42
선교중국어학과 60 - 45 30 30
2017학년도 입학자 신학과 55 - 40 21 42
선교문화복지학과 50 - 40 21 42
기독교교육상담학과 50 - 40 21 42
선교영어학과 60 - 45 30 42
선교중국어학과 60 - 45 30 30
2018학년도 이후 입학자 신학과 55 33 40 21 42
선교문화복지학과 50 33 40 21 42
기독교교육상담학과 50 33 40 21 42
선교영어학과 TESOL전공 60 33 45 30 42
선교영어전공 60 33 45 30 42
선교중국어학과 60 33 45 30 30

편입생 본전공 이수학점 (개정 2017.02.01.)

편입생 본전공 이수학점에 대한 설명
대상 대상 학과 본 전공만 이수
2014학년도 이전 입학자 전체학과 35
2015학년도 이후 입학자 신학과 40
선교문화복지학과 40
기독교교육상담학과 40
선교영어학과 45
선교중국어학과 45